![]() |
↑ 사진 = 픽사베이 |
미국과 유럽에서 '주 4일제'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주 32시간 근무제도'가 주요한 노동 정책 의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난 8일(현지시간) CBS 방송은 민주당 소속 마크 타카노 하원의원이 같은 당 의원 13명과 공동 발의한 '주 32시간 근무법'이 미 의회 진보코커스의 지지를 받으며 법안 통과가 유력해졌다고 보도했습니다.
해당 법안은 주당 근무시간을 총 32시간으로 제한하고, 근무시간이 초과하면 시간당 근무 수당을 별도로 지급하자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타카노 의원은 "주 32시간 이상 근무하는 것을 금지하는 게 아니라 32시간을 초과한 근무에 대해서는 반드시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는 게 법안의 핵심 내용"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근무시간 단축을 실험한 기업들의 업무 생산성이 25~40% 향상됐고, 일과 삶의 균형이 높아졌다는 분석 결과를 첨부했습니다. 또한, 고용주는 직원의 건강보험료나 사업장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 사진 = OECD·한국리서치 |
북유럽 국가 아이슬란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주 4일제를 시범 운영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아이슬란드 노동 인구 중 1%가 참여한 이 실험은 기존과 동일한 임금을 받으면서 주 4일만 근무하도록 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아이슬란드의 실험은 엄청난 성공으로 결론 났다”며 “참여한 근로자는 기존의 성과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았고 직장에서 더 나은 협업을 이뤘다”고 보도했습니다.
시범 운영 없이 '주 4일제'를 바로 도입한 기업도 있었습니다. 영국 최초 인터넷 은행 '아톰은행'은 급여 삭감 없이 '주 4일 근무제'를 시행했습니다.
주 4일제가 저임금 개선 및 일자리 나누기 정책과 함께하지 못한다면, 일부 정규직과 공무원에게만 유리한 정책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노동 시간이 단축되면 비정규직의 임금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비정규직의 적정 노동 시간 확보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2003년에는 비정규직 노동 시간이 정규직의 90%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77% 수준으로 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절대적인 노동 시간이 줄어들면서 비정규직 등 취약계층의 소득은 줄어들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NYT는 주 4일제의 단점으로 직원들의 소속감과 안정감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이슬란드의 주 4일제 실험 보고서에 따르면, 관리자가 직원 교육 등 단체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 전보다 힘들어지는 것으로 나
동료들 사이에 소통이 줄어들면서 정보 전달이 어려워진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미국 갤럽 연구원인 짐 하터와 라이언 펜델은 "근무 시간이 줄어들수록 회사·팀·관리자와 단절된 느낌을 받는 직원이 늘어난다”며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직원이 늘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인력 유출에 민감한 기업이라면 우려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우한나 인턴기자(hannau7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