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발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저연령화 추세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저연령화 추세
![]() |
↑ 사진=연합뉴스 |
여성가족부는 오늘(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조사에 참여했습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조사 대상 127만6천789명 중 18.1%(23만634명)였습니다.
지난해(18.5%)보다는 0.4%포인트 낮은 비율입니다.
중학생(9만730명·20.6%), 고등학생(7만4천777명·17.1%), 초등학생(6만5천127명·16.3%) 순으로 과의존 위험군 학생이 많았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되며 청소년들의 인터넷 과의존은 줄었지만,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은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중학생은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이 전년보다 4천388명 많아졌고, 그 비율도 전년 20.5%에서 20.6%로 소폭 확대됐습니다.
초등학생의 경우 과의존 위험군 수는 7만1천262명에서 6만5천127명으로
여가부는 점차 낮아지는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들의 이용 습관을 파악하기 위해 올해 7월 처음으로 초등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승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leesjee20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