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내성이 있는 암세포에 빛을 쪼여 제거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 |
↑ 연구진 모습. / 사진=울산과학기술원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 권태혁·민두영 교수팀은 어제(16일) 포항공과대(POSTECH) 박태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항암제 내성 원인으로 알려진 암세포의 자가 포식을 억제할 수 있는 광 반응 화합물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암세포의 변화무쌍한 적응력은 항암제 개발의 주요 장애물로 꼽혀왔습니다.
암세포는 면역 체계를 회피하기 위해 자가포식을 하며 항암제를 배출하고 분해된 노폐물 성분으로 부족한 에너지원을 메웁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자가포식을 억제하기 위해 모폴린과 이리듐으로 구성된 광 반응 화합물을 개발했습니다.
빛을 받으면 활성화되는 화합물이 자가포식이 일어나는 공간인 세포 리소좀만 선택해 공격하는 원리입니다.
연구팀은 개발한 광 반응 화합물을 약물내성 췌장암세포가 이식된 쥐에게 투입한 뒤 적외선을 쏘고, 젬시타빈 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췌장암 조직이더라도 7일 만에 암이 완전히 사라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연구팀 분석 결과 이 화합물은 빛을 받아 리소좀 막을 파괴하면서 동시에 리소좀이 자가포식소체와 융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이 화합물이 산화손상을 일으키는 단백질들을 추가로 밝혀낼 계획입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자가포식으로 약물내성이 생긴 주요 난치암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젬시타빈 이외에도 기존 항암제들과 병용 치료 효능을 검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