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2법·금리인상·전세대출 규제 영향으로 월세화 더욱 가팔라져
![]() |
↑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임대 계약을 맺은 서울 아파트 월세 세입자 10명 중 4명가량은 월 100만 원 이상의 고액 월세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날까지 신고·취합된 지난해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3만 8천548건 가운데 100만 원 이상 고액 월세(보증금 제외)를 지불한 경우는 3만 9천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체 전월세 계약의 16.3%로, 전세를 제외한 월세 계약(10만 206건) 중에서는 38.9%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임대차 2법 시행 첫해인 2020년 100만 원 이상의 월세가 전체 월세 계약의 29.3%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해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에 거주하면서 100만 원 이상∼500만 원 미만의 월세를 납부한 임차인은 전체 월세 세입자 중 37.5%에 달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0년(28.9%)에 비해 비중이 8.6%포인트 증가한 것입니다.
이 중 100만∼300만 원의 월세 임차인은 2020년 27.0%에서 지난해는 32.9%로 늘었고, 300만∼500만 원 월세 계약도 같은 기간 2.0%에서 4.6%로 증가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4인 가구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세전)은 824만 8천 원, 1인 가구는 447만 6천 원 선인 것을 감안하면 근로소득의 많은 부분이 월세로 지출되는 셈입니다.
수백만 원대의 고액 월세 거래는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에 주로 포진했습니다.
초고액 월세 계약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500만 원을 초과하는 초고액 월세 계약은 1천404건으로 전체 월세 계약의 1.4%에 달했습니다.
2020년에는 0.4%에도 못 미쳤는데 4년 새 1%포인트 늘었습니다.
대부분 법인이나 외국계 임원·연예계 종사자 등의 계약으로 추정되는 1천만 원 이상 초고액 월세 거래는 179건이었습니다.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한남더힐, 성수동 갤러리아포레·트리마제 등의 펜트하우스에서 2천만∼3천만 원대의 월세 계약이 이뤄졌습니다.
고액 월세 거래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은 2020년 7월 31일 임대차 2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한 영향이 큽니다. 오른 보증금을 감당하지 못해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기준 서울 아파트 월세 지수는 전월(120.426) 대비 0.474포인트 오른 120.9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112.092)과 비교해 8.808포인트 오른 수준이며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KB 월세 지수는 2022년 1월을 기준으로 삼아 전용 95.86㎡ 이하 표본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입니다.
금리 인상과 전세대출 규제가 강화된 사이 전셋값이 급락하고 역전세난, 전세사기 문제가 심화하면서 월세화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세사기 문제가 컸던 연립·다세대(빌라) 등 비아파트 시장은 자발적 전세 기피 현상까지 더해져 월세 계약이 대세가 됐습니다.
전국 전역에 전세사기가 터지면서 월세로 대거 옮긴 탓에 월세 가격이 23개월 연속 상승한 것입니다.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전체 주택 월세 비중은 57.6%로 최근 5년 평균치(46.2%)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이중 아파트 월세 비중은 44.8%로 절반이 안 되지만, 전세사기 피해가 컸던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는 월세 비중이 69.7%에 달했습니다.
빌라 10건의 임대차 계약 중 7건이 월세 계약인 것입니다.
아파트 월세 비중이 5년 평균(39.3%)에 비해 5.5%포인트 늘어난 반면, 비아파트는 직전 5년 평균(52.6%) 대비 17.1%포인트가 급증했
전문가들은 월세 가격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세 사기 여파와 전세 대출 규제 강화로 월세를 찾는 임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전셋값이 앞으로도 꾸준히 오를 가능성이 크고, 최근에 시중은행들이 전세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월세 상승세가 갈수록 뚜렷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