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도화선이 된 2·8독립선언 106주년 기념식이 8일 도쿄 재일본한국YMCA회관에서 개최됐다 / 사진=연합뉴스 |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도화선이 된 2·8독립선언 106주년 기념식이 오늘(8일) 도쿄 재일본한국YMCA회관에서 개최됐습니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종찬 광복회장과 김현숙 도쿄총영사를 비롯해 광복회원, 유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념식은 2·8독립선언 노래 합창, 국민의례, 성경봉독, 2·8독립선언서 낭독, 만세삼창 등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이종찬 회장은 기념사에서 "유학생들의 2.8 독립 정신이 3.1운동의 한 축이 돼 일제의 만행을 세계만방에 폭로했고 결국 대한민국이 민주공화제로 건립되는 위대한 역사의 초석이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광복회는 전쟁 전 일본에 대해 비난하고 규탄하지만 그런 적개심을 전후 일본에까지 연장시킬 의사는 없다"며 "일본이 진정으로 전전 일본 역사를 청산하면 광복회는 앞장서 용서와 화해의 길을 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이 회장은 전날 특파원들과 만나 "광복회는 우리를 수탈하고 애국지사를 죽인 전쟁 전 일본과 전후 일본을 구분하자는 입장"이라며 "최근 일본 지식인들이 낸 호소문에 호응해 한국 지식인들도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성명을 내도록 하는 작업에도 최근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와 다나카 히로시 히토쓰바시대 명예교수 등은 지난달 20일 낸 호소문을 통해 1965년 한국과 일본이 체결한 한일기본조약의 일본 정부측 해석에 한반도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시각이 담겨 있는 만큼 이를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 |
↑ 2·8독립선언 기념식 참석 위해 방일 중인 이종찬 광복회장 / 사진=연합뉴스 |
2·8독립선언은 재일 한인유학생들이 결성한 '조선청년독립단' 명의로 최팔용, 송계백, 김도연, 김상덕 선생 등 11명의 대표위원이 서명하고, 재일 한인유학생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919년 2월 8일 도쿄 한복판에서 조국 독립을 세
당시 현장에서 17명이 체포된 2·8독립선언은 국내 3·1운동의 도화선이 됐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2·8독립선언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기념식이 매년 도쿄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