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이제 변론기일은 2차례 남았습니다.
다음 주 화요일에 열리는 7차 변론기일에선 부정선거 의혹이 쟁점이 될 전망인데요.
부정선거는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이유 중 하나로 꼽았던 만큼, 양측의 치열한 공방이 예상됩니다.
길기범 기자입니다.
【 기자 】
예정된 8차례 변론기일 중 6번이 끝나면서 종반부로 치닫는 탄핵심판.
오는 11일 열리는 7차 변론기일에선 부정선거 의혹이 핵심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그동안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 중 하나로 부정선거를 강조해 왔습니다.
▶ 인터뷰 : 지난해 12월 12일
- "민주주의 핵심인 선거를 관리하는 전산시스템이 이렇게 엉터리인데, 어떻게 국민이 선거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겠습니까?"
윤 대통령 측은 선관위 시스템을 점검했던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을, 국회 측은 부정선거 의혹을 반박해 온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을 증인으로 불렀습니다.
국회 측은 부정선거가 있었더라도 계엄 선포 요건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할 전망입니다.
▶ 인터뷰 : 김진한 / 국회 법률대리인 (지난달 21일 3차 변론)
- "선거부정이 있다고 해도, 피청구인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 이 사건 소추사유를 전혀 정당화시킬 수 없습니다."
또 지난해 4월 총선 직후 윤 대통령과 술자리를 함께한 신원식 국가안보실장과 조태용 국정원장도 증인으로 출석합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술자리에서 부정선거 의혹을 밝히기 위해 계엄이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를 놓고 비상계엄 모의 정황 등을 캐물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마지막 8차 변론기일에는 조지호 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가 출석하는데, 국회 출입 통제 상황을 놓고 공방이 예상됩니다.
다만, 한덕수 국무총리 등에 대한 증인 채택 가능성도 있는 만큼 추가 변론기일이 지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MBN 뉴스 길기범입니다. [road@mbn.co.kr]
영상편집 : 오광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