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설치 건수도 정부 자제 권고 이후 8분의 1 수준까지 떨어져
![]() |
↑ 중국 딥시크 앱 / 사진=연합뉴스 |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과 기업까지 중국의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 딥시크 차단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분위기 속에서 국내 딥시크 사용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9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딥시크 앱 일간 사용자 수는 지난달 28일 19만 1,556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9일 13만 2,781명, 30일 9만 6,751명 등으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행정안전부의 자제 권고가 나오며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4일의 경우 일간 사용자는 7만 4,688명에 불과했습니다.
무엇보다 신규 설치 건수에서 이 같은 추이는 눈에 띄게 부각됐습니다.
딥시크 신규 설치는 설 연휴 기간이었던 지난달 28일 17만 1,257건으로 최다를 기록한 뒤 29일에는 6만 7,664건으로 3분의 1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4일의 경우 28일과 비교해 8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진 셈입니다.
딥시크 공개 직후 챗GPT를 중국의 스타트업이 저비용으로 능가했다는 호기심이 더해져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수요가 보안 우려가 확산하며 확연히 꺾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공개적으로 딥시크 경계령을 내린 만큼 이 같은 추세는 한층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 |
↑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PC에 '딥시크' 사이트가 차단된 화면. 정부 부처들이 6일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섰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날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이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 사진=연합뉴스 |
딥시크는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르면 딥시크는 AI 모델 학습을 위해 이름·생년월일 같은 가입에 필요한 기본적인 신상정보는 물론 인터넷 IP 주소, 고유 장치 식별자, 키 입력 패턴까지 수집한다고 오늘(9일) 밝혔습니다.
즉, 웹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딥시크를 사용할 경우 이런 정보가 실시간으로 중국에 위치한 딥시크 측 서버에 전송된다는 의미입니다.
또 광고주와 협력사들로부터 딥시크 외부의 웹사이트와 앱, 앱 마켓에서의 활동 정보도 공유받는다고 덧붙였습니다.
딥시크의 이같은 광범위한 이용자 정보 수집은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과 비교해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챗GPT의 경우 설정에서 챗봇에 입력한 정보를 다음 대화에 기억하게 할지, 오픈AI 모델 훈련을 위해 보낼지 등을 이용자 선택에 맡기고 있지만, 딥시크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한 어떠한 선택권도 주지 않습니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원하면 딥시크 측이 수집한 개인정보를 그대로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합니다.
미국 사이버 보안 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최고경영자(CEO)는 ABC방송에 출연해 "딥시크 코드를 해독한 결과, 중국 정부의 통제 아래 있는 차이나모바일 측으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
커지는 보안 위협에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은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냈고, 상당수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들도 자체적으로 딥시크 사용 차단에 나섰습니다.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