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1일)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주장했던 '부정선거 의혹' 관련 증인이 출석하면서 핵심 쟁점으로 다뤄졌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2023년 선관위 보안점검 당시 발견됐던 취약점들을 제시하며 부정선거가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는데, 국회 측은 의혹의 실체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이 내용은 박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을 비상계엄 선포의 주요 이유로 언급해왔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증인으로 나온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에게 선관위 서버의 보안 취약 문제를 집중적으로 물었습니다.
백 전 차장은 지난 2023년 10월 선관위 보안점검에 참여했던 국정원 보안전문가입니다.
윤 대통령 측은 망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중요정보가 장악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비밀번호를 12345로 하는 등 취약점이 얼마나 발견됐냐"고 물었고,
백 전 차장은 "비밀번호는 예시일 뿐이며 수십 개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고 답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윤 대통령 측은 "보안의 취약점만으로 바로 부정선거 결론이 나오는 건 아니지만, 취약하고 위험한 환경이 조성돼 있다는 건 분명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국회 측은 보안상 취약점이 있었더라도 실제 침입 흔적 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국회 측 대리인은 "선관위 내부 시스템이 침입당한 흔적이 있느냐"고 물었고, 백 전 차장은 점검한 5% 내에서는 없었으나 나머지 95%에서도 없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MBN뉴스 박규원입니다.
[pkw712@mbn.co.kr]
영상취재 : 전범수 기자
영상편집 : 이주호
그 래 픽 : 이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