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일 기준 한랭질환자 233명 신고
한랭질환자의 84.5% 저체온증 71.7%는 실외에서 발생
최근 한랭질환자 57.5%는 65세 이상 고령층
Q. 한랭질환 고위험군은?
심뇌혈관 질환 있다면 한파 시 건강관리 유의해야
건조하고 찬 공기 기관지 수축 유발해 호흡기 질환 악화
과한 음주 시 신체 열 올랐다가 급격하게 떨어져
Q. 한파 대처요령은?
수시로 체감온도와 날씨 확인하고 가급적 야외활동 줄여야
외출할 땐 내복·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 착용해야
체온 유지 기능 약한 어르신·어린이는 보온에 신경 써야
Q. 저체온증 증상은?
체온 35℃ 이하일 때 체온 유지 위해 온몸 떨리기 시작
팔과 다리의 떨림 심해지고 피부와 입술 창백해져
말이 어눌해지고 발음 부정확해지는 증상 동반돼
Q. 저체온증 대처요령은?
저체온증 증상 나타나면 즉시 따뜻한 장소로 이동해야
젖은 옷은 빠르게 갈아입고 담요·보온재로 몸을 감싸야
의식 희미해지거나 움직임 둔해졌다면 응급구조 요청
Q. 미세먼지 영향은?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
미세먼지에 오래 노출되면 천식 등 호흡기 질환 악화돼
초미세먼지는 혈류를 통해 순환·다양한 기관에 악영향 미쳐
Q.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요령은?
초미세먼지 심한 날엔 야외 운동·외출 가급적 자제해야
외출해야 한다면 KF80 이상 마스크 착용해야
실내는 물걸레로 청소하면 미세먼지 농도 낮출 수 있어
Q. 최근 박물관 화재 발생?
증축 공사 중인 국립한글박물관에서 화재 발생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 발령·인력 262명 투입
소방관 1명 화재 진압 중 낙하물과 추락하는 사고 발생
Q. 최근 박물관 화재 원인은?
박물관 옥상 용접 작업 중 우레탄폼에 불꽃이 튄 듯
경찰·소방 당국·한국전기안전공사 등과 현장 감식 진행
'우레탄폼' 내장재로 사용·인화성 물질로 불 붙기 쉬워
Q. 박물관 화재 유물 피해는?
8만 9000여 점 유물을 1층 수장고에 보관·피해 없어
'국립한글박물관 화재' 시설·집기류 손실이 주를 이뤄
국립한글박물관 화재로 소방 추산 13억 재산 피해 발생
Q. 박물관·미술관 안전 조사 실시?
소방당국 국공립 박물관·미술관 안전 조사 돌입
소방시설 정상 작동 여부·소방차량 접근성 등을 점검
소장 전시물을 반출하는 합동 훈련과 비상 대피 교육 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