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노조연맹 "조종사와 승무원들 여전히 두려움 안고 비행한다"
![]() |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의 로컬라이저 둔덕 / 사진=연합뉴스 |
대한민국조종사노동조합연맹(조종사노조연맹)은 오늘(14일) "전국 7개 공항에서 항공 안전에 위협이 되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 장애물을 즉각 철거하라"고 국토교통부에 공문을 보내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앞서 지난달 전국 공항 특별 안전점검을 통해 제주항공 참사가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등 7개 공항에서 9개의 콘크리트 둔덕 등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로컬라이저 시설을 확인하고 개선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연맹은 "무안공항 제주항공 2,216편 참사 발생 이후 한 달이 넘었음에도 아직까지 실질적인 철거작업 미이행되고 있다"며 "개선 대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으나, 대규모 인명참사가 발생한 장애물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이 누락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철거 계획, 예산 운영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연맹은 지난달 말 조종사 1천4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 950명(66.1%)이 이들 시설물의 '즉각적인 철거'를 촉구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로컬라이저 장애물이 있는 7개 공항에 고경력자를 우선 배치하라는 지시 등을 고려하면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해결을 통한 안전 확보라는 목적보다는 시설 관리 부실 및 개선 책임 회피를 위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비판했습니다.
시설물이 있는 7곳 공항은 로컬라이저가 필요한 정밀 계기접근(ILS) 착륙을 대체할 수 있는 성능 기반 항법 접근(RNAV) 절차가 운영되고 있어 일부 악기상 상황을 제외하고는 운영에 문제가 없다고 연맹은 주장했습니다.
또 "조종사가 활주로에 착륙하더라도 안전과 생명 확보를 보장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조종사와 승무원들은 여전히 두려움을 안고 비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연맹은 "우선 로컬라이저 장애물을 철거한 뒤 로컬라이저 안테나를 단계적 시공하는 방식을 통해 실질적인 안전 운항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항공안전혁신위 등 정부
한편, 대한민국조종사노동조합연맹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인천 등 10개 민간 항공사 조종사 노조 연합체로 지난 2021년 설립됐습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