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에만 제주와 여수, 부안에서 어선이 전복되거나 화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죠.
일부 어민들의 안전 불감증도 있지만, 당국의 하나 마나 한 단속도 문제입니다.
단속 날짜와 시간을 미리 알려주다 보니 구명조끼나 소화기를 돌려가면서 단속에 대응하고 있거든요.
강세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뒤집히고, 침몰하고, 화재까지.
이달에만 벌써 대형 어선 사고가 4건이나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습니다.
서해안의 한 항구.
어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구명조끼와 소화기는 잘 비치돼 있을까?
2톤 이상 어선 10척을 확인해 봤더니 무려 8척이 구명조끼를 갖춰 놓지 않았습니다.
▶ 스탠딩 : 강세훈 / 기자
- "이 배는 민간해양구조대 어선인데요. 구조 어선조차도 구명조끼가 비치돼 있지 않습니다."
구명조끼가 있는 어선도 비닐과 테이프로 묶어 놔 긴급한 상황에서 바로 사용할 수도 없습니다.
소화기는 포장을 뜯지도 않았고, 심지어 만든 지 20년 이상 된 소화기도 있습니다.
해경과 지자체에서 매년 5차례 이상 단속을 하는데도이게 가능한지 물었더니 답변은 황당했습니다.
▶ 인터뷰 : 전북 부안군 관계자
- "(어민에게) 전화를 해서 이날 점검이 있으니까 협조를 해 달라 해서 (해양수산부, 해경)과 같이 점검하죠."
어민들이 단속 날짜와 시간을 훤히 꿰고 있어 하나 마나 한 단속이 이뤄지고 있는 겁니다.
▶ 인터뷰 : 어민
- "검사할 때는 다른 (어선에 있는) 소화기나 구명조끼 가져다가 검사받고 줘 버리고 그렇지…."
당국은 취재가 시작되자 실효성 있는 단속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강세훈입니다.
영상취재 : 조계홍 기자
영상편집 : 이동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