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한한의사협회 전경 / 사진 = 대한한의사협회 제공 |
의대 정원 증원 관련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대한한의사협회에서 한의대 정원을 한시적으로 줄이고 남은 한의과대학 공간을 의대생 교육 공간으로 활용하자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윤성찬)는 "의대생 휴학과 증가로 인한 공간 부족으로 정상적인 수업 진행이 어렵다면 내년부터 6년간 전국 한의대 정원을 절반으로 줄이고, 남는 공간을 한시적으로 의대 교육에 활용하자"고 주장했습니다.
한의사협은 지난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의사 인력 과잉 문제는 10여 년 전부터 있어 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해당 제안이 추진된다면 교육 공간 확보에 따른 2026년 의대 신입생 증원 논란은 사라지게 되고, 한의사 수는 자연스럽게 감소해 한의사와 양의사 수급 균형을 맞추는 데도 효과적"이라 설명했습니다.
한의사협은 "의대와 한의대가 함께 있는 대학교는 해당 한의대 공간을 의대 교육에 사용하고(가천대, 경희대, 동국대, 원광대, 부산대), 한의대만 있는 대학교는 해당 한의대 공간을 인근 의대가 활용(△대구한의대 : 경북대, 영남대, 계명대, △대전대 : 충남대, △동신대 : 전남대, △상지대 : 연세대 원주, △세명대 : 충북대, △우석대 : 전북대 등)하자"며 세부 방안을 밝혔습니다.
한의사협의 주장은 이러한 방안이 2026년 의대생 모집 문제와 한의사 인력과잉 문제를 한 번에 해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한의사협은 해당 제안 추진을 위해서는 한의대 임상실습여건 개선 등 한의대 교육의 질 제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라 밝혔습니다.
한의사협은 “교육부가 의대정원 갈등으로 의대 교육 인프라 운영과 확충에
이어 "한의과대학의 교육 인프라를 확보하고 지원해 의대생과 한의대생 교육에 활용한다면 2026년 의대 정원 문제를 비롯해 많은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강윤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forteyoung061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