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의대생 복귀 시한 임박 / 사진 = 연합뉴스 |
지난 17일,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4명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수련병원과 학교를 떠난 뒤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인턴, 레지던트)와 의대생을 향해 비판을 쏟아낸 것과 관련해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오늘(21일) 반박 입장을 냈습니다. 비대위는 "1년이 넘는 기간 희생한 젊은 의사들의 노력을 철저히 폄훼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우리는 앞으로도 대한민국 의료의 지속 가능한 미래와 발전을 위해 끝까지 우리의 방식대로 목소리를 낼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습니다.
지난 17일 서울대 의대·병원의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교수는 동료 복귀를 막는 전공의와 의대생을 겨냥해 "조금은 겸손하면 좋으련만,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도 오만하기 그지없다"는 성명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비대위는 이들 4명의 교수를 거명하며 "제자들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며 현 사태의 책임을 전적으로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돌렸다"고 유감을 표한 뒤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정당한 항의를 이기심으로 매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교수들의 비판처럼) 우리는 단 한 번도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 한 적 없다"며 "제대로 수련받고 환자를 통해 배우고 성장하며 의사로서 전문성을 함양할 수련 환경을 요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또 "(교수들의 서신에서) '솔직히 정맥주사 같은 술기를 간호사와 응급구조사에게 배우지 않았느냐'라는 대목은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교수는 학생과 전공의를 가르치는 것이 업으로, 교수가 아닌 타 직역으로부터 기본 술기를 배우도록 방치한 현실은 오히려 교수들이 되짚어 봐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비대위는 "4인의 교수는 정부의 잘못된 정책과 제도적 문제를 바로잡으려는 우리의 노력을 방해하고 있다. 이는 의료계 내부 갈등을 심화시키고 사태 해결을 더욱 요원하게 만들 뿐"이라며 "젊은 의사들의 순수한 노력과 희생을 왜곡하고 비난하는 행동은 절대 바람직하
한편, 전국 의과대학 학장들은 오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 동결 약속을 반드시 지켜내겠다며 학생들에게 복귀를 호소했습니다.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