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EPA 연합뉴스 |
주당 52시간이 넘는 장기 근무는 뇌 구조를 바꿔 문제 해결 능력과 기억력, 감정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세대와 중앙대 공동 연구진은 이 같은 내용의 예비 연구 결과를 현지시간 13일 국제학술지 '직업 및 환경 의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의료 분야 종사자 110명의 뇌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분석했습니다.
이 중 32명은 주당 최소 52시간 일하는 과로 그룹, 78명은 주당 40시간 정도로 표준 근무 시간을 유지하는 그룹이었습니다.
분석 결과 장시간 근무하는 이들은 뇌의 전두엽의 중앙 전두회 부위의 회백질 용량이 평균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부위는 주의 집중, 작업 기억, 언어 관련 처리 등 복합적인 인지 기능에 관여합니다.
또 주의, 계획,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상전두회, 감각·운동 기능 통합, 감정 처리, 자기 인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섬엽 등 17개 부위의 부피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과로한 사람들은 실행 기능 및 감정 조절과 관련한 뇌 영역에서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시간 근무와 뇌의 구조적 변화를 연결하는 새로운 신경생물학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과로를 직업 건
다만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장시간 근무로 인한 것인지,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해 개인에게 더 오래 일하는 성향을 부여한 것인지는 판단할 수 없다고 연구진은 덧붙였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 기자/jeong.minah@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