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마킹하는 수험생 / 사진=연합뉴스 |
2025학년도 주요대학 인문계열 학과 정시 합격생 중 55.6%가 이과생이라는 분석이 오늘(15일) 나왔습니다.
이과생들이 높은 수학 표준점수 등을 바탕으로 인문사회계열에 진학하는 이른바 '문과침공' 현상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종로학원이 대입정보털 '어디가' 공시에서 2025학년도 주요 17개 대학 인문계열 340개 학과 정시 합격자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선택 과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수능 수학에서 미적분이나 기하 과목을 선택했습니다.
미적분과 기하는 주로 이과 희망 수험생이 선택하는 과목으로, 문과 수험생 다수가 선택하는 확률과 통계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아 입시에 유리합니다.
한양대 인문계열 학과 중 이과 희망 수험생 합격 비율은 87.1%로 가장 높았습니다. 서강대 86.6%, 건국대 71.9%, 서울시립대 66.9%, 성균관대 61.0%, 중앙대 53.8%, 연세대 50.3%, 경희대 46.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인문계 학과 합격생 전원이 이과생인 곳도 있었습니다.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성균관대 자유전공계열, 서강대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 한양대 정보시스템학과 등 17개대 21개 학과가 이에 해당했습니다.
다만 서울대, 고려대 등은 수학 선택과목별 합격자 비율을 공개하지 않아
2022학년도에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후 같은 원점수를 받아도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이 높은 현상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작년 수능에서 확통은 137점, 미적분은 148점, 기하는 142점으로 표준점수 최고점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정민아 디지털뉴스 기자 jeong.minah@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