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으로 시중 자금이 몰려 통화정책 효과가 반감된다고 지적했던 한국은행이 내부에서는 직원 복지 차원으로 1인당 수천만 원씩 자체 부동산 대출을 내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
↑ 사진=MBN |
오늘(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은 올해 1분기 말 직원 112명에게 총 45억 8천만 원의 주택자금대출을 지원했습니다.
1인당 약 3천800만 원꼴로, 대출 금리는 연 3.4% 수준이었습니다.
한은은 근속 1년 이상의 무주택 직원이 신청하면 5천만 원 한도로 주택자금대출을 제공해 왔습니다.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시 최장 20년 원리금 분할 상환을, 전월세 자금 대출 시 계약 기간 만료 후 상환을 조건으로 했습니다.
직원 복지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양호한 시중은행에도 한은과 같은 제도는 없습니다.
법령상 은행원은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자금대출을 받으려면 재직 중인 은행 대신 다른 은행을 찾아야 하므로 일반 손님들과 비슷한 수준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한은 자체 주택자금대출은 금리 또한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파악됐습니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예금은행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평균 연 4.2%로 한은 자체 대출보다 0.8%포인트 높았습니다.
더구나 한은 내부에서 받은 대출은 신용평가회사와 공유되지 않아 시중은행이 산출하는 신용평가액 통계 등에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시중은행에서 대출 가능 금액이 1억 원이라면 한은 직원들은 사내 복지 덕분에 최대 1억 5천만 원을 빌릴 수 있는 셈입니다. 한은 자체 대출이 은행 전산에 잡힌다면 그만큼 한도가 줄어야 합니다.
해당 복지 혜택은 지속적으로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거시건전성 관리 강화를 요구하는 동시에 수도권 부동산으로만 돈이 몰리는 현상을 타파하자며 구조개혁에 목소리를 높여온 한은 기조와 모순되는 측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한은 관계자는 "직원 주거 안정을 위한 제도로 무주택 실거주 조건을 요구해 갭투자용 대출을 차단한다"며 "은행연합회 공시 은행 주담대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