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서민교 기자] 프로농구 전‧현직 감독들이 한 목소리로 한국농구연맹(KBL)의 현행 행정에 칼날을 세웠다. 자유로운 토론의 장. 외국인선수 제도에 대한 고찰과 KBL의 소통, 심판 판정 문제 등에 대해 날카로운 지적을 했다.
스포츠조선이 주최한 한국농구 발전포럼이 15일 서울 올림픽파크텔 서울홀에서 열렸다. 이날 주제 발표는 김완태 LG 단장과 박종천 하나외환 감독이 맡았고, 김동광, 김태환 해설위원, 유재학 모비스 감독, 위성우 우리은행 감독이 패널로 참석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외국인 선수 제도와 국제경쟁력 제고’. 손대범 점프볼 편집장의 사회로 진행된 리얼 토크에서 패널들의 날 선 발언과 함께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 사진=KBL 제공 |
다음 시즌부터 외국인선수 2명이 뛰는 제도 변경에 대해 장‧단점은 거의 같았다. 김태환 해설위원은 “과거로 돌아간다는 것과 4번(파워포워드) 포지션이 침체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장점은 조금 더 높은 수준의 테크닉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광 해설위원도 “장점은 좀 더 나은 농구를 보여주면서 빅맨의 덩크가 아닌 빠른 농구를 선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선수들이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KBL에서 5, 6라운드 제한을 두는 등 제도상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을 받았다.
유재학 감독은 “장점보다 단점이 훨씬 더 많다. 과거에도 그랬듯 국내선수들이 뛸 수 있는 기회가 좁아지고 빅맨들의 포스트 플레이 기피 현상도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현역 선수 시절 프로농구를 경험했던 위성우 감독도 “볼거리를 만든다는 것은 좋다고 보지만, 외국인선수 둘이 주고받는 농구를 하게 된다. 국내선수는 수비 위주로 하는 경향이 생긴다. 시청자들도 식상해 할 것이다. 제도도 중요하지만 결국 국내선수가 리그에서 더 활동을 잘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2명 다 뛰는 것은 반대하는 입장”이라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전문가들은 국내선수들의 프로다운 기술적인 향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흥행을 위한 조건에 외국인선수가 들어가는 것에 반기를 들었다.
특히 유 감독은 “개인 기술이 좋은 선수들 화려해서 재밌는 경기를 하고 국내선수들이 보고 배울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KBL의 흥행 유지가 된다고 보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유 감독은 “국내선수의 활약이 좋아져야 장기적 흥행 역할을 할 수 있다. 외국인선수는 단지 눈요기 감이기 때문에 한 명 갖고 충분히 할 수 있다. 둘이 뛰게 되면 국내선수는 볼이 나르는 보조 역할밖에 할 수밖에 없다. 좋은 경기력이 어떤 것인지 묻고 싶다”고 되물었다.
이어 유 감독은 “외국인선수들이 쇼를 하는 농구가 좋은 경기력인지, 5명이 조직력으로 농구를 하면서 골을 넣는 것이 좋은 농구인지 묻고 싶다. 유럽에도 NBA 출신 선수들이 많이 있다. 50점대 경기가 나와도 경기는 정말 재밌다. 득점이 많은 것과 흥행은 거리가 멀다”며 “학생체육관에서 뉴질랜드와 평가전을 할 때 국내선수만 갖고 했다. 대표팀에 기술 좋은 선수는 한 명도 없었다. 그래도 관중들이 꽉 들어찼다. 아시안게임 때 농구 시청률도 높았다. 외국인선수가 쇼를 한다고 절대 흥행이 되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결국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자유계약제도를 이상적인 외국인선수 제도로 꼽았다. 김동광 해설위원은 “트라이아웃의 단점은 내가 뽑고 싶은 선수를 뽑을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좋아하지 않는 선수를 데려와 성적을 내야 하는 강박 관념이 있다”며 “자유계약으로 가야 한다. 슈터가 필요하면 슈터를 데려와 팀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유재학 감독도 “자유계약제도 도입에 찬성한다. 드래프트의 단점이 너무 많다. 자유계약 도입 시 한 명 보유에 한 명 출전을 원하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확실한 농구철학을 전한 뒤 “자기 팀에 맞고 부족한 포지션인 선수를 데려와 쓰는 것이 맞는 것이다. 똑같은 풀 안에서 똑같은 선수들 데리고 똑같은 돈을 주고 하니 재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KBL의 행정력과 소통 부족 문제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태환 해설위원은 “스포츠조선에서 농구발전 포럼을 하는데, 왜 KBL이 주도를 하지 못했나”라며 “외국인선수 제도 변경도 공청회를 여러 번 거쳤어야 했다. 다수의 의견을 수렴해서 이런 안이 나왔다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는데, 각 구단 이사는 있지만, 사외이사가 없으니 폐단이 나올 수밖에 없다. 총재가 바뀔 때마다 제도가 바뀌면 혼란스러워지기만 하다. 장기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광 해설위원도 “전체 농구인, 구단 실무자, 감독들, 팬들의 의견을 교류 했어야 했다. 농구 팬들의 의견을 수렴해 한 단계씩 밟아 나갔어야 했다”고 했고, 유재학 감독도 “뭐든지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5년, 10년 미래를 보고 공감대가 형성된 이후에 결정을 해야 맞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어 유 감독은 “지금까지 감독자 회의를 무수히 했지만, 이런 회의를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우리 의견을 반영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모두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현장의 의견이 전혀 반영이 되지 않는 결정은 결국 소통의 부재다”라고 했고. 위성우 감독도 “현장
김태환 해설위원은 KBL의 무능한 행정력에 날을 세웠다. 김 해설위원은 “KBL은 왜 홍보비를 위해 투자를 하지 않는가. KBL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도 아니고 가난하지도 않은데 왜 방송사에 협조를 구하지 않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min@mae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