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 합성쿼츠 소재 QD9+, 지난해 4분기부터 수요처에서 PCN 진행
이르면 6월 말부터 양산 공급...수직계열로 글로벌 소재•부품 전문기업 도약
이르면 6월 말부터 양산 공급...수직계열로 글로벌 소재•부품 전문기업 도약
반도체 소재와 부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비씨엔씨(대표 김돈한)가 세계 최초 반도체 에칭 공정용 국산화 합성쿼츠 ‘QD9+’ 소재의 부품을 반도체 업체에 공급합니다. 비씨엔씨는 지난해 4분기 국내 소재 세계 최대 반도체기업 2개 회사를 대상으로 QD9+ 소재 부품에 대한 PCN(Process Change Notice: 변경점 관리)을 시작한 데 이어 지난주 H사로부터 첫 품목에 대해 PCN 완료 통보를 받았습니다. 회사 측은 해당 부품을 이르면 6월 말부터 양산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
↑ 비씨엔씨가 생산하는 QD9+ 잉곳 및 제품사진. |
비씨엔씨는 또, S사에서도 약 20여개 품목에 대해 QD9+소재 부품에 대한 PCN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연내 첫 품목에 대한 PCN 완료를 목표로 내년부터는 S사에 대해서도 QD9+소재 부품의 공급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거래가 시작된 해외 I사에서도 올 하반기 QD9+ 테스트를 개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향후 국산화 합성쿼츠 QD9+ 소재의 부품 공급을 확대하면서 본격적인 실적 성장과 함께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비씨엔씨는 지난 10여년에 걸친 연구개발을 통해 반도체용 합성쿼츠 소재를 국산화해 ‘QD9+’라는 브랜드로 명명하고 현재 양산 준비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QD9+는 비씨엔씨가 현재 생산에 투입 중인 수입 합성쿼츠 소재인 QD9보다 반도체 미세공정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초고순도 소재로, 주력 제품인 포커스링에 최적화된 형상으로 양산돼 원재료비 뿐 아니라 가공과 공정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게 특징입니다. 또, 현재 국내 반도체 업계가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쿼츠 소재를 국내에서 양산하게 됨에 따라 국내 수요처의 생산 리드타임과 재고관리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업계는 지난해 전세계 반도체용 쿼츠 부품 시장규모가 6조원 이상(식각공정1.2~1.5조원)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부터 연평균 약 26%에 달하는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쿼츠 부품의 소재로는 천연쿼츠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쿼츠 소재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비씨엔씨의 국내 쿼츠 부품 시장 침투율은 약 10%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합성쿼츠 부품은 현재 천연쿼츠 부품 대비 가격이 비싸지만, 내마모성이 좋아 미세공정으로 갈수록 적합도가 높아진다는 게 장점으로 꼽힙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국산화 소재인 QD9+로 동사의 국내 쿼츠 부품 시장내 침투율은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비씨엔씨는 그 동안 QD9+ 소재 개발 및 양산 과정에서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특허 방어 시스템을 구축해 왔습니다. 현재 총 25개의 특허를 등록 또는 출원한 상태에 있으며, 추가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회사 측은 특히, 세계 최초 반도체 에칭 공정용 소재라는 점
김돈한 비씨엔씨 대표는 “QD9+ 소재의 국내 생산을 통해 제품 양산까지 수직계열화를 달성함으로써 비씨엔씨는 품질경쟁력과 가격경쟁력을 모두 갖추게 됐다"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소재 및 부품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정광재 기자 indianpao@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