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퍼링으로 미국채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여러 기관들의 전망과 달리 올해 들어 미국채 금리가 하락하고 있다. 미국채 금리의 예상과 다른 행보는 향후 신흥국 자본유출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국제금융센터는 22일 '미국채 금리 하락 배경과 전망' 보고서에서 "미국채 금리가 장기국채를 중심으로 올해 1월과 4월 이후 급락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2014년 1월 2일 3.00%에서 2월 4일 2.64%로 36bp 하락했던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2월 중순부터 4월초까지 다시 18bp 상승했으나, 4월 이후 급락해 5월 15일엔 2.50%를 기록했다. 10년 미만의 단기 국채 금리도 등락을 거듭한 뒤 5월 이후 급락 흐름에 편승했다.
보고서는 미국채 금리 급락의 배경으로 △풍부한 유동성 △통화 당국의 부정적 경기인식 △수요우위의 수급 상황 등을 꼽았다.
먼저, 양적완화 시행 이후에도 계속 늘어난 유동성이 은행과 기업 등 경제주체들의 잉여자금으로 흡수됨에 따라 채권시장에 다시 돈이 몰리고 있다. 미 연준이 노동시장의 부진한 상황, 목표에 미달한 인플레이션율 등을 근거로 테이퍼링 후 상당시간이 지나야 기준금리를 정상화할 것임을 시사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향후 전망에 대해 보고서는 미 경제지표의 개선세와 연준의 경기 인식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 한 당분간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금리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판단했다. 미국채 금리의 지속적 하락은 글
다만 4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출구전략 논의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향후 금리 상승 전환 등에 따른 글로벌 자본 유출입 변동성 심화 가능성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