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볼라 바이러스'/사진=CNN |
'에볼라 바이러스'
아프라카 전역이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으로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28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월부터 현재까지 서아프리카 3개국(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1200여 명이고 이중 660여 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WHO에 따르면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 중에는 의료진 100여 명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50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센터 책임자도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최고 90%에 달해 '죽음의 바이러스'로 현재 백신이나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환자의 피와 땀, 분비물에 접촉하기만 해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호흡기나 위장관에서 심한 출혈이 나타나며 보통 발병 후 8~9일째 대부분 사망한다고 알려져 불안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확산이 더 쉬운 이유는 장례식에서 고인의 시체를 만지는 풍습이 있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환자 사후에도 접촉에 의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회복된 후에도 수 주 후까지 정액에 남아있어 성관계를 통한 전파도 가능합니다.
한편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의사가 병을 옮긴다"는 루머가 확산돼 서아프리카 기니의 한 마을 주민들은 칼·새총 등
이에 '국경없는 의사회' 의료진들은 해당 지역 진입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법도 없다니.." "에볼라 바이러스 치사율 90% 정말 무섭다"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법을 개발할 수는 없을까"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