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 어떻게 되나…서방·러시아 개입 확대에 확전 조짐
↑ 시리아/사진=MBN(위 기사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합니다.) |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5년째 이어지고 있는 시리아 내전이 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됐습니다.
최근 유럽이 겪고 있는 난민위기의 근본 원인으로 시리아 내전이 지목되면서 서방 각국들이 시리아에서의 공습 방침을 밝힌 가운데 서방과는 뜻을 달리하는 러시아 역시 시리아 내전에 더욱 깊숙이 개입하는 모양새입니다.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과 정권 축출을 목표로 한 온건반군,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 지부인 알누스라전선 등까지 복잡하게 얽혀 안그래도 꼬여가던 시리아내전이 서방과 러시아의 개입 확대로 한층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프랑스·호주·영국, 시리아서 IS 공습 참여
마뉘엘 발스 프랑스 총리는 9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IS를 격퇴하고 아사드 정권을 축출하지 않는 한 난민 문제의 해법은 찾을 수 없다"며 내주 의회에서 시리아내 공습 계획을 발표한다고 말했습니다.
프랑스는 공습을 앞두고 지난 8일 라팔 전투기를 동원해 시리아 상공에서 첫 정찰 비행을 시작했습니다.
프랑스를 비롯해 미국 주도의 IS 격퇴전에 참여하고 있는 서방국가들은 그동안 이라크에서와 달리 시리아에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IS에 대한 공습이 자칫 아사드 정권에 반사이익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한 탓입니다.
그러나 최근 사상 초유의 난민 위기를 겪으며 난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백만 명의 시리아인을 밖으로 내몬 시리아 내전을 종식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졌고 시리아전에도 동참을 확대하기로 한 것입니다.
토니 애벗 호주 총리도 이날 "미국의 요청을 수용해 IS에 대한 공습을 이라크에서 시리아로 넓히기로 했다"며 "IS를 물리치는 것만이 중동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끝낼 뿐 아니라 호주와 세계에 대한 위협을 해소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국 역시 시리아 공습 재개를 위해 의회의 지지를 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들 국가들은 모두 유럽으로 몰려오는 난민들을 수용한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난민 수용이라는 일시적인 부담을 감수함과 동시에 추가 부담을 차단하기 위해 난민 위기의 근원인 시리아 내전을 종식시키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한 것입니다.
발스 총리는 "난민 위기는 난민을 수용하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4백만∼5백만에 달하는 시리아 난민을 모두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문제가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아사드정권 지지자 러시아, 내전 직접 개입하나
연합군의 전력이 강화된다면 내전 조기 종식의 기대를 품어볼 수도 있으나 변수는 아사드 정권의 든든한 지지자인 러시아 역시 개입 확대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9일 AFP통신은 익명의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최근 러시아 전차양륙함 두 척이 시리아 타르투스항에 도착했으며 시리아 공항에 십여 대의 러시아 병력수송차가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울러 수십 명의 러시아 해병대가 시리아가 도착했고 대형 수송기도 공항에 착륙했다고 전했습니다.
로이터통신도 앞서 복수의 레바논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군이 이미 시리아내 지상전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정부군이 이들리브 지역의 마지막 군 기지를 시리아의 알카에다 지부인 알누스라전선에 내주는 등 패색이 짙어지자 러시아가 지원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서방 언론들은 분석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그러나 러시아군이 직접 개입했다는 사실을 부인하며 "러시아는 시리아와 군사기술 협력관계로, 공공연하게 무기와 군사 전문가를 지원해왔다"며 "새로운 사실은 전혀 없다"고 항변하고 있습니다.
서방은 러시아의 시리아전 개입 확대에 깊은 유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사무총장은 "러시아의 개입은 갈등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세르게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에게 전화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
발스 총리는 CNN에 "러시아는 아사드 정권을 지지하고 있지만 정치적 해법 또한 원하고 있다"며 러시아와 대화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