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확실한 물가상승 신호가 나오고서” 인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IMF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위한 자료로 12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과 정책변화’ 보고서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융위기 이후) 첫 연방기금금리 인상은 노동시장의 지속적인 호조와 더불어, 연준의 중기 목표치인 2%로 물가가 상승한다는 확실한 신호가 나오고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FOMC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금융시장에서 변동성을 높이고 자산 가격의 과격한 변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신흥시장에 대한 자금 이동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도 우려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결정이 “계속 자료에 의존해 이뤄져야 한다”며 “통화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소통도 여전히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IMF는 ‘아웃풋 갭’, 즉 한 국가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잠재성장률 간의 격차가 여전히 크면서 낮은 물가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며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시장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일”이 필수적이라고도 주장했다.
올해 들어 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고조될 때마다 IMF는 이를 우려하는 입장을 보여 왔다.
지난 9월 윌리엄 머레이 IMF 부대변인은 “최근 세계 경제의 상황 변동이 심해졌다”면서도 “최근의 상황 때문에 미국 연준에서 금리인상 계획을 서서히 진행해야 한다는 논리가 바뀌지 않았다는 게 우리(IMF)의 일반적 시각”이라고 밝혔다.
중국 경제에 관해 이 보고서는 “성장의 급격한 둔화를 방지하고, 과도한 대출 증가로 생긴 (금융시장의) 취약점을 막으며, 전체 경제에서 시장의 역할을 강화하는 세 가지 일을 동시에 해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중국 경제가 이런 과제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전세계) 교역이나 상품(시장)에 악영향을 불러일으키고 이런 영향이 금융시장을 통해 확대될 수 있다”면서도, 과제를 성
이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세계 금융시장에서의 자금 경색 가능성과 더불어, 중국의 경제구조 전이 과정에서 발생할 부작용과 더불어 전세계 경제가 직면한 두드러진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