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가 잇따른 악재에 휩싸였다. 지난주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가 1년4개월만에 처음으로 ‘심리적 저지선’인 1만5000선이 붕괴된 데 이어 15일 발표된 지난해 10~12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마이너스 0.4%를 기록했다.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분기 만이다. 마이너스 성장의 주요인이 내수를 지탱하는 개인 소비가 0.8%나 감소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 경제의 악화, 유가 하락 충격으로 금융시장의 혼란이 이어지고, 수출도 줄어드는 등 새해 들어 일본 경제는 ‘총체적 난국’에 빠진 상황이다.
지난달 말 일본은행은 소비 위축 등을 해결하기 위해 사상 초유의 마이너스 금리 도입 방침을 정했지만, 이달들어 연일 주가가 폭락하는 등 시장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양적완화를 통한 경제 선순환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국내외 경제 여건은 이런 정책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접어들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우선 개인 소비 감소는 이번 겨울들어 한파가 거의 오지 않으면서 겨울철 의류 판매 부진이라는 계절적 요인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비세 증세(5%→8%) 및 달러화 대비 엔화가치 약세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이 컸지만 실질임금이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감소하면서 가계 구매력이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다.
2014년 5월말 소비세 증세 이후 가계의 ‘절약’ 의지가 한층 강해진 상황에서 최근의 유가 인하에 따른 일부 제품 가격 인하가 소비 진작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외부에도 불안 요인은 곳곳에 있다. ‘세계의 시장’인 중국의 경기 후퇴는 수요 감소로 신흥국 등의 경기상황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고, 호조를 보이고 있던 미국 경제도 이미 영향권에 들어간 양상이다.
중국발 세계 증시 폭락 및 최근 가속화하는 엔고 현상은 일본 기업의 투자 심리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기업의 설비투자는 위축될 가능성이 높고, 이달들어 시작되고 있는 춘투(임금협상)에서도 정부가 원하는 대폭 임금인상은 실현되기 어려워 보인다.
결국 일본 경제는 정부의 양적완화 정책이 한계를 보이는 가운데 민간 영역에서도 경기 회복의 모멘텀을 찾기 어려운 늪에 빠진 형국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