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로부터 천문학적인 벌금을 부과받아 고꾸라졌던 도이체방크 주가가 반등에 성공했다.
미국 법무부가 당초 제시했던 140억 달러(15조5000억 원)의 벌금을 54억달러(5조9000억원)로 낮추면서 ‘뱅크런 조짐’까지 보였던 도이체방크발 위기가 일단은 소강 국면에 접어든 것이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도이체방크가 부실 주택저당증권(MBS)를 팔았다며 벌금을 물렸고, 이를 전해들은 헤지펀드들이 돈을 거둬들이면서 ‘제2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터지는 것이 아니냐는 공포가 뒤따랐다.
2일 파이낸셜타임스는(FT)에 따르면 벌금 감액 소식이 전해지면서 1983년 이후 최저치까지 추락했던 도이체방크 주가가 30일 6.4% 급등해 일단 발등의 불은 꺼졌다.
도이체방크를 위기에 처하게 한 직접적 원인이 다소 완화되면서 숨통이 트였기 때문이다. 이날 도이체방크 위기설이 줄어들면서 줄줄이 하락했던 유럽증시는 회복세를 띠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 30 지수는 전일보다 1.01% 뛴 1만511.02에 거래를 마쳤고 프랑스 CAC 40 지수도 0.10% 오른 4448.26에 장을 마쳤다.
이와관련 FT는 도이체방크의 재정 건전성이 금융위기를 우려할 만큼 나쁘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도이체방크의 재정상태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양호하며 유동성도 풍부해 위기 대처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FT는 “독일 정부도 구제에 나설 수밖에 없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유럽중앙은행(ECB)에까지 손을 벌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유럽 금융시장에서는 독일 2대 은행인 코메르츠방크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직원 9600명을 감원을 발표하고 도이체방크가 줄어든 과장금조차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면서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전문가들도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마르틴 헬미히 프랑크푸르트 경영대학원 교수는 FT에 “지난주 벌어진 일련의 사태는 유럽의 은행부문이 여전히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도이체방크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마땅한 비즈니스 플랜이 없어 투자자들의 신뢰를 못 얻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이체방크는 그리스와 이탈리아 등지에서 확장을 꾀하는 전략을 세웠지만 2008년 금
[박의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