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후가 작년 미국 정보당국의 요청을 받고 수억명 고객들의 이메일을 감시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로이터는 지난 5일 “야후는 작년 미국 국가안보국(NSA)이나 연방수사국(FBI)의 요청을 받고 비밀리에 모든 고객의 이메일을 검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보당국은 야후에 이메일의 내용이나 첨부파일에 특정 문구를 찾아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프로그램은 야후의 보안팀 몰래 머리사 메이어 최고경영자(CEO)와 법무자문만의 지시로 제작, 사용됐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이렇게 검색한 이메일은 정보기관이 원격으로 가져갔다. 이 때문에 보안팀은 해당 프로그램을 발견하고 해커가 침입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했다.
야후 임직원들은 경영진이 정보당국의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지 않고 받아들인 데다가 보안팀 몰래 프로그램을 심어 놓은 것에 대해 분노했다.
뒤늦게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사실을 알게 된 야후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 알렉스 스테이모스는 작년 6월 사표를 제출하고 페이스북으로 자리를 옮겼다.
뉴욕타임스는 5일(이하 현지시각) “야후가 해당 프로그램이 아닌 아동 음란물이나 스팸메일을 검색하는 기존의 시스템으로 정보당국의 요청을 수행했다”며 “해외 테러리스트 집단이 의사소통할 때 사용하는 디지털 암호를 해독하는데 시스템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미국 법무부가 지난해 미국 해외정보감독법원의 지시를 받고 야후에 요청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USA투데이는 “혐의가 사실이라면 미국에 기반을 둔 인터넷 회사가 저장된 모든 수신 메시지를 감시한 첫 번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국제 인권운동 단체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은 “이번 사건은 프라이버시를 파괴하고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위협한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포브
이번 사건에 대해 야후는 “야후는 법을 지키는 회사로, 미국의 법을 따른다”며 “로이터가 보도한 이메일 스캐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입장을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박소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