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장수사회 일본 생명보험회사들이 사망리스크보다는 생존리스크를 반영한 보험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나섰다. 10년 안팎 주기로 재평가하는 보험금지급 데이터의 기초인 '표준생명표'가 내년 봄 재산정을 앞뒀기 때문이다.
내년에는 일정기간 내에 사망했을 때 보험금을 지불하는 정기형 보험료는 내려가는 반면, 병에 걸릴 리스크 고조를 반영해 의료보장 등을 하는 의료형 보험료에는 상승 압력이 가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최근 일본 생명보험사와 계약자(보험수요자)들 모두 생존리스크 대비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표준생명표 2007년 판은 40세 남성의 경우 1000명당 연 1.48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설정됐다. 내년 4월에 변경되면 1.18명으로 떨어지며 병 조기 발견 등으로 40대 사망률이 20% 정도 낮아진다.
사망률 하락은 보험회사의 보험금 지불 확률의 하락을 의미한다. 일본·다이이치·메이지야스다·스미토모 등 4대 생명보험사를 비롯해 보험회사들은 신규계약자 사망보장 보험료 인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장기간이 10년인 정기사망보험 상품의 경우 5∼10% 보험료가 내려가지만 언제 사망해도 보험금을 주는 종신보험은 인하폭이 1∼3%에 그칠 것으로 추산된다.
일본 생명보험문화센터가 남성이 가입한 사망보장 평균액수를 조사한 결과 2016년은 1793만엔(약 1억8180만원)이었다. 2007년(2382만엔)보다 25%, 1996년과 비교하면 33% 각각 줄어들었다.
일본사회는 맞벌이 가족 증가와 출산율 하락으로 본인 사후 가족에게 남기는 사망보험 액수가 현실적으로 줄어들고 있고 그에 따라 사망보험 수요가 줄어들었다. 대신 본인이 살아있을 때의 질병이나 부상 대비한 의료형 수요가 커졌다.
(일본)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016년도 의료보험 신규가입 계약수(355만 건)은 종신사망보험(351만 건)과 거의 동수였다. 종신사망보험은 5년 사이 1% 줄었지만 암보험은 33% 늘었다.
평균 여명이 늘어나고 고도의료가 도입되는 영향 등으로 의료비는 급증하
그러나 의료보험료를 보험사들이 일제히 올리기도 어렵다. 생명보험협회 네기시 아키오 회장(메이지야스다생명보험 사장)도 "회사마다 대응방식에 차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