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늘(27일·현지시간) 북미정상회담 개최 후보지가 "2곳으로 압축됐다"고 언급하면서 역사적인 북미 정상 간 첫 만남 장소가 어디로 최종 낙점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하루 전날만 해도 후보지가 '5곳'이라고 거론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오전에는 '2∼3곳', 오후에는 '2곳'이라고 언급하는 등 북미정상회담 장소 선정 작업이 확실시되는 분위기입니다.
개최지 선정은 북미정상회담의 '리트머스 시험지'로 관심을 모아온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한층 더 속도를 내는 양상입니다.
북미 간 사전 물밑 접촉을 통해 회담 장소와 시기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는 가운데 어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조율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미 언론들은 애초 회담 후보지로 거론돼 온 스위스 제네바, 스웨덴 스톡홀름, 싱가포르, 몽골, 괌 등 5곳 가운데 싱가포르를 가장 유력하게 점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입장에서는 싱가포르를 가장 선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CNN 방송은 이날 정상회담 장소 선정 논의에 정통한 인사 2명을 인용, "최종 결론에 도달해봐야 알겠지만, 미국 행정부 관계자들은 싱가포르를 선호하고 있다"며 중국과 한반도는 중립적이지 않아 보인다는 이유로 배제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방송은 유럽 국가들의 경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소련제 전용기로 논스톱 비행이 어렵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행정부 관계자들의 전언을 소개했습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도 한국과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싱가포르가 가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1993년 4월 왕다오한(汪道涵) 중국 해협양안관계협회(해협회) 회장과 구전푸(辜振甫) 대만 해협교류기금회(해기회) 이사장간의 양안 첫 공식회담과 함께 2015년 11월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馬英九) 전 대만 총통간 양안 분단 66년만의 첫 정상회담이 열린 곳입니다.
중립적 중재회담을 치른 경험이 적지 않은 데다 국제 항공교통의 허브로서 미국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이나 북한의 구소련시대 비행기의 보수 정비를 모두 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한편 몽골도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입니다.
미국 CBS방송은 2명의 미 정부 소식통을 인용, 싱가포르와 함께 몽골이 미북 정상회담의 최종 후보지로 고려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외신들은 몽골 정부가 북미정상회담 개최지 제공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몽골은 직접적인 '북핵 6자회담' 당사국은 아니지만 동북아 안보를 주제로 한 민간대화 '울란바토르 안보대화'를 개최하며 북핵 문제에 관심을 표명해왔습니다.
북한은 몽골 개최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은 북한의 우방이라는 점과 숙박·경호 인프라가 취약하다는 점 때문에 이를 반대하고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를 꺼리고 몽골을 원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싱가포르와 북한의 다소 소원한 관계에다 김 위원장이 항공기를 이용한 이동을 꺼릴 것이라는 예측 때문입니다.
왕성(王生) 중국 지린(吉林)대 교수는 "미국은 싱가포르가 북한보다는 미국 편에 좀더 가까이 설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싱가포르를 선호하겠지만 북한의 기대에 더 가깝게 부합하는 개최지는 몽골"이라고 전했습니다.
왕 교수는 "비행기보다는 열차 이동을 선호하는 김 위원장 가문이 쉽게 다다
뤼차오(呂超) 랴오닝(遼寧) 사회과학원 연구원도 "싱가포르는 북한과 관계가 가깝지 않기 때문에 개최지가 될 것 같지 않다"며 "싱가포르는 미국이 원하는 곳이지만 북한은 이 생각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