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정보원 1차장을 지낸 한기범 북한연구소 석좌연구위원은 2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북한경제리뷰' 11월호에 실린 '북한의 경제개혁 의제 설정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논문에서 "북한이 2018년 4월 밝힌 '새로운 전략노선(경제총력 선언)'은 핵 협상 부진과 제재 지속으로 사실상 실행 불능 상태가 됐다"고 밝혔다.
한 위원은 "북한의 경제개혁 추진 곡선을 보면 처음에는 완만한 파고로 너울대다가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김정일·김정은 시기에 급격한 커브를 보여 개혁과 반개혁의 진통이 극심해짐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정은 시기에 개혁조치의 수용 정도는 대폭적이어서 선대에 금기시했던 조치들이 큰 논란 없이 받아들여졌지만, 개혁조치 실행 여건은 김정일 시기보다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한 위원은 "우선 경제제재가 더해져 외부수혈이 줄고, 그 결과 자체 자원동원을 강제하고 시장 활용도를 늘리는 내부 순환을 가속화했지만 경제난은 심화됐다"며 "원자재·에너지·외화 부족으로 개혁조치 확대 효과는 마치 새로 도입한 기계에 원료를 대지 못하고 기름을 치지 못해 거의 쓸모가 없게 된 것과 흡사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제재와 압박에 맞대응한다는 정치 논리가 중시돼 경제는 다시 심각한 모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하강국면을 보일 소지가 다분하다"며 "위기의 반작용으로 다시 대담한 개혁을 모색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주체'(지도자, 엘리트, 민중)의 역량에 따라 반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 위원은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 후 짧지만 큰 폭의 경제 개혁을 단행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내놓았다. 그 배경으로 북한 정권이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3대 세습체제에서 경험한 개혁의제 설정 과정에서의 3가지 공통점을 들었다.
우선 '주체의 강화'라는 정치논리와 경제개혁 논리가 순환했고, 개혁과제는 초기 유보적이다가 지체된 뒤 절충 수용되는 불완전성이 나타났다. 그 결과 개혁성과가 부진한 책임으로 경제 간부들이 숙청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은 "이 같은 개혁·개방에 대한 정치적 속박이 북한 3대 세습정권을 관통하는 구조화된 특성
[디지털뉴스국 김정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