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 사진=연합뉴스 |
인공지능(AI) 관련 연구 성과 공로로 올해 노벨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오늘(7일) 현지 시각 초인적 AI 개발 시기가 예상보다 빨라졌다며 통제불능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이날 물리·화학·경제학상 수상자는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노벨물리학상 공동수상자인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초인적 AI가 존재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그렇다"며 "이것은 우리가 내내 실현되리라고 믿어온 부분"이라고 답했습니다.
힌턴 교수는 "예전에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 개발 시기가 훨씬 더 늦을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최근의 개발 속도를 보면 5∼20년이면 될 것 같다"면서 "어떻게 (AI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심각하게 걱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AI선구자로 불리는데 과거로 돌아간다고 가정했을 때 후회되는 점이 있냐는 질문에 "안전성을 보다 일찍 고민했다면 좋았을 텐데"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도 힌턴 교수 의견에 동의한다고 견해를 냈습니다. 허사비스 CEO는 "물론, 언제나 나의 열망은 과학적 발견에 기여하는 (AI) 도구를 개발하겠다는 것"이라면서 "AI를 통해 질병이나 에너지, 기후 등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돕는 훌륭한 도구를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는 동시에 강력한 범용 기술 개발이 수반하는 위험성에 대해서도 고민해왔다며 "AI는 인류가 개발한 가장 강력한 기술 중 하나일 것이므로 위험성을 매우 심각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들은 AI 규제 필요성에 대한 견해도 밝혔습니다. 힌턴 교수는 가장 먼저 AI 기술이 적용되는 '치명적 자율무기'(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s·LAWS)에 관해서는 현재 사실상 어떠한 규제도 없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이스라엘 등 주요 무기 공급국 간 군비경쟁 심화 여파로 주요국 정부들이 규제에 회의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허사비스 CEO는 "AI 규제가 필요하지만 제대로 규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기에 불과 몇 년 전 논의한 규제 방법이 지금 논의할 만한 규제가 아닐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현재로선 그 부분이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힌턴 교수는 AI 머신러닝(기계학습) 기초를 확립한 공로로 존 홉
[지선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sw990339@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