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 어려울 듯"…러시아·우크라이나 명확한 입장 차이
![]() |
↑ 세스 존스 CSIS 국제안보프로그램 책임자 / 사진=CSIS 유튜브 캡쳐 |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전선에서 물러났다는 주장에 대해 우크라이나군이 공식 부인했습니다.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 키릴로 부다노우는 미국 군사전문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군 약 8천 명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여전히 전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군이 약 2주째 전선에서 활동하지 않고 있는 것은 다수의 사상자가 나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4일(어제) 미국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국제안보 프로그램 책임자인 세스 존스는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북한군의 사상자 수는 3분의 1에서 아주 많을 경우 50%까지로 추정된다"며 "전사자는 1천 명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어 "이것은 북한 파병 군이 1만 1천~1만 2천 명 규모로 보면 상당히 놀랄만한 사상자 규모"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의해 점령된 쿠르스크 지역을 탈환하기 위해 많은 사상자가 동반되는 '소모전'을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입장에선 소모전에 따른 정치적 비용이 크지 않다는 것이 그의 분석입니다.
존스 책임자는 "재래식 병력의 대부분은 시베리아나 중앙아시아, 교도소 출신이지 모스크바 등의 엘리트 (집안) 자체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것이 러시아가 북한군을 이용해 온 방식"이라면서 "이들은 매우 적은 음식과 물을 휴대하여 방한용품은 거의 없지만 상당한 탄약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우크라이나군과 얘기를 해보면 전장에 배치된 북한군은 죽을 각오가 돼 있는 치열한 전투원이지만, 조직적이지는 않고 지휘부를 비롯해 러시아군과의 결집도 명백하게 약하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존스 책임자는 "북한군이 가지고 있지 않은 한 가지는 고강도 전투에서의 최신 경험이다"라며 "쿠르
종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입장 차이를 설명하며 "휴전이 있을 순 있지만 종전은 성사되지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습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