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기에 있는 한은, 고민 깊어져
![]() |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 사진=연합뉴스 |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현지시간으로 어제(11일)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인플레이션이 목표(2%) 수준을 웃도는 현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열린 연방 상원 청문회에서 "연준의 현 통화정책 기조는 이전보다 현저히 덜 긴축적으로 됐고, 경제는 강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정책 기조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밝혔습니다.
파월 의장은 "긴축 정도를 너무 빠르고 많이 줄이면 인플레이션 진전을 막을 수 있다"면서 "동시에 긴축 정도를 너무 느리고 적게 줄이면 경제활동과 고용을 약화할 위험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지난 2년간 상당히 둔화했다"면서도 "연준의 2% 장기 목표에 견줄 때 다소 높은 상황에 머물러 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 달성 준거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6%를 보였습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반영하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8%로,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그는 "경제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우리는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두 정책 목표를 최적으로 달성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만약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고 인플레이션이 2%로 지속적으로 둔화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제한적인 정책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파월 의장이 지난달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시장은 연준이 금리 인하 결정에 신중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날 파월 의장은 트럼프의 정책에 관한 질문은 "연준의 일이 아니다"라며 답변을 피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연준은 이날 상원 청문회에 이어 오늘(12일)은 하원 청문회에 출석할 예정입니다.
![]()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한편, 미국의 금리 인하 전망이 크게 줄어들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계엄 사태로 인해 내수가 위축된 상황에서 금리를 내릴 것이란 기대가 지배적이었으나, 현 상황에선 이 같은 결정이 어렵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미국 금리 인하 폭과 속도가 줄어들면 그만큼 '달러 강세-원화 약세'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한은 입장에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한은이 현재 금리 인하기에 있지만, 2월 25일에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인하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