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어제(13일)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금지 유예 기간이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에 관한 각서에 서명한 뒤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 '틱톡 강제 매각' 관련 질문을 받고 "서비스 유지를 위해 거래가 성사되기를 여전히 희망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약 2주 전부터 90일이 주어졌다"며 "(유예 기간이) 연장될 수도 있지만, 지켜보자"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마 연장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미연방 의회는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작년 4월 금지법을 제정했고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서명해 발효됐습니다.
이 법에 따라 틱톡 모회사인 중국의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지난달 19일부로 틱톡 신규 다운로드 등이 금지돼 서비스가 중단될 예정이었습니다.
틱톡은 매각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지난달 18일 밤을 기해 서비스를 전면 중단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백악관에 복귀하자마자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틱톡 서비스 금지법 시행을 유예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이 틱톡 매각을 승인하는 것은 가치 있는(worthwhile) 일일 것"이라고 말해 중국 정부에 틱톡 매각을 우회적으로 압박했습니다.
그는 지난달에는 "중국은 (틱톡 매각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 바 있습니다.
틱톡 매각에 대해 현재 여러 기업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AI'가 틱톡과 합병을 추진하면서 지분 절반을 미국 정부에 넘기는 안을 제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가 틱톡 인수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직접 밝힌 바 있으며, 최근엔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면서 여기에서 틱톡을 인수할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한때
그러나 머스크는 "나는 틱톡에 입찰한 적이 없다"며 "만일 내가 틱톡을 인수하면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틱톡을 인수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