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부담 증가, 한국 젊은층 출산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
한국 영유아 사교육의 과열 실태에 대해 외신까지 조명하고 나섰습니다.
![]() |
↑ 영유아 사교육 자료화면. / 사진 = MBN |
현지시각 16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의 6세 미만 영유아 중 절반에 가까운 47.6%가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한국 교육 당국의 최근 통계를 인용해 "한국의 학문적 경쟁이 6세 미만의 절반을 입시 학원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영유아 사교육 시장 실태를 보도했습니다.
매체는 '학원(hagwon)'을 영어·수학·과학·글쓰기 등의 과목에 대한 수업을 제공하는 기관이라고 소개하며 "한국의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최고의 대학과 몇 안 되는 대기업에서의 고소득 일자리를 위한 강도 높은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학원에 의존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사교육 광풍이 학교에 입학하기 전의 영유아에게까지 내려오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이 나날이 늘면서 한국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진단도 내놓았습니다.
매체는 "사교육비 부담 증가는 젊은 층이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면서 전 세계 최저 수준인 한국의 출산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한국의 부모들도 이러한 사교육 부담에 대한 불만이 크지만 동시에 자신의 자녀가 뒤떨어지는 것은 두려워 사교육을 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지난 13일 교육부가 발표한
'영어 유치원'으로 불리는 영어학원 유치부의 경우 월평균 비용이 154만5,000원에 달했고, 소득 규모별 사교육비 격차는 7배에 육박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