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에 핵개발 전면 포기를 압박하며 2주 시한을 제시한 데 대해 이란 고위급 인사는 지금 단계에서 휴전에 합의하는 것은 실수이며, 이미 이란의 농축 핵물질은 찾아내기 힘들도록 옮겨뒀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란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장성인 모센 레자에이는 현지시간 20일 보도된 이란 국영 TV 인터뷰에서 "모든 농축 물질은 (이스라엘의 공격 전에) 옮겨진 상태이며, 안전한 장소에 있다"면서 이란은 이후에도 핵물질을 계속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현 단계에서 휴전에 합의하는 것은 약해진 적이 재정비할 수 있게 해줄 뿐"이며 '전략적 실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발언과 관련해 미국 워싱턴DC 싱크탱크인 전쟁연구소(ISW)는 이란이 서방을 '딜레마'에 빠트리려는 전략을 구사 중이라고 진단했습니다.
ISW는 "핵 협상에서 이란의 조건을 받아들일지, 아니면 이란의 숨겨진 핵 물질을 찾기 위해 길고 어려운 추적을 해야만 할 위험을 감수할지 선택하라는 딜레마를 미국과 국제사회에 던져주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서방을 상대로 이란이 숨겨놓은 모든 핵 물
이란은 향후 협상에서 우라늄 농축에 대한 권리를 지키려고 시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 이스라엘, 유럽연합(EU) 주요 회원국들은 이런 요구에 여전히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원중희 기자/june12@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