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관계자는 "공사현장 가압류와 채권단 추가 지원 결의 난항으로 협력업체 결제가 불가능해지는 등 유동성 위기가 커져 회사 자체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위기에 직면했다"며 "의사결정이 지연되면 협력업체 추가 피해가 커지고 국내외 현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됐다"고 말했다.
쌍용건설은 지난 6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돌입했지만 우여곡절 끝에 결국 6개월 만에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됐다. 쌍용건설은 향후 회생절차 조기종결제도인 '패스트 트랙' 방식의 회생을 모색할 방침이다.
쌍용건설은 1400여 곳에 달하는 협력업체의 도산을 최소화하고 국내외 사업 현장을 최대한 지키기 위해 '초강수'를 뒀지만 파장은 클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달 말까지 쌍용건설이 협력업체에 내줘야 할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B2B)만 600억원에 달한다. 돈이 제때 지급되지 않으면 협력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된다.
해외 사업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공사가 당장 중단되지는 않지만 신용등급 하락이 불가피하고 공사 진행과 추가 수주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쌍용건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해외 사업은 싱가포르를 비롯해 8개국 16개 프로젝트이며 수주금액만 3조원에 달한다. 현재 말레이시아 랑카위 개발의 첫 프로젝트인 '2015 아세안 서밋 회의장'의 단독 시공사로 선정되는 등 동남아시아 정부와 공기업이 발주한 프로젝트도 다수 수행하고 있어 공사가 중단될 경우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1조2000억원 규모의 카타르 도하 지하철 공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고, 2000억원 규모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W호텔의 수주 후보로 꼽히는 등 약 2조원의 해외 사업 물량 확보를 눈앞에 두고 있지만 이들 사업의 수주도 차질을
다만 법정관리로 채무 동결과 함께 군인공제회의 7개 국내 사업장 가압류가 해제돼 자금 여력이 생기고 채권단도 적극적으로 기업 회생을 돕겠다고 약속한 만큼 협력업체의 줄도산 등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내 주택현장은 대부분 내년 초ㆍ중반 준공인 물량이어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임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