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거시 경제 정책 측면에서 가계부채(증가세)가 경제성장세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9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미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영향으로 시장 금리가 상승해 가계부채가 늘어날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장기 금리 상승으로 가계부채 상환 부담이 커진다면 이는 과다채무계층, 즉 소득하위계층에 더 큰 부담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재는 "장기금리가 오르면 가계부채에 영향을 준다"며 "금리가 50bp 오르면 원리금상환부담비율(DSR)이 0.6%포인트 오른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소득하위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총재는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10월 전망했던 3.8%를 그대로 유지한다고도 밝혔다. 내년 성장률은 4.0%로 제시했다.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2.5%에서 2.3%로 낮춰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목표인 2.5~3.5%를 벗어났다는 지적에 김 총재는 "현재 2.3%로 전망했지만 하반기에 들어서면 물가안정목표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4%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힌 데 대해선 "잠재성장률이라는 것은 인플레가 가속화되지 않는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성장률이라고 본다"며 "항상 3% 후반으로 이야기해왔다. 이 기준으로 근접해있다"고 밝혔다.
'GDP갭 마이너스가 언제쯤 해소될 것인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는 "GDP갭 마이너스는 올해 연말까지 해소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GDP갭은 잠재GDP와 실질GDP의 차이를 말한다. GDP갭률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현재 경제가 잠재치 만큼 성장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반대로 갭이 축소돼
한은은 금통위는 이날 1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50%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키로 했다. 한은은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한 차례 통화정책에 변화를 준 바 있다.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