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사회초년생, 저소득층, 무직자 등 금융거래정보가 취약한 금융소외자가 직접 통신요금, 공공요금, 현금거래내역 등 비금융정보를 제공하면 개인신용평가에 긍정적으로 반영하는 방식이 있으나마나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용평점 상승에는 효과가 있으나 그 상승폭이 미미해 신용등급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20일 기자가 단독 입수한 개인신용평가회사 나이스(NICE)평가정보의 '비금융정보 개인신용평가 반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나이스평가정보가 지난해 7월 금융소외자의 비금융정보를 개인신용평가에 반영한다고 발표한 이후 8월부터 12월까지 접수된 신청 건은 133건으로 이중 15건은 신청 대상이 아니었으며 나머지 118건은 100% 신용평점이 상승됐다. 다만 이중 31건만이 신용등급 상승으로 이어졌다. 신청 대상자 중 실질적인 금융거래기회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사람이 10명중 3명에 그친 셈이다. 신평사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경우도 나이스평가정보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 등 금융기관은 신용평점보다는 신용등급을 대출 여부를 비롯해 금리 및 한도(대출) 수준을 결정짓는데 참고한다는 실정을 고려하면 이런 평가방식으로 금융소외계층이 금융거래기회 확대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시중은행 개인여신 담당자는 "세부적인 신용평점보다는 신용등급을 대출 여부 등을 판단하는 참고자료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신용 6등급의 평점 커트라인이 570점이라고 가정하면 이에 1점이 못 미치는 569점을 받은 사람과 1점을 더 받아 570점을 받은 사람 간 평점 차이는 1점에 불과하지만 결과적으로 신용등급은 6등급과 7등급으로 나뉘게 돼 대출시 1점차로 7등급을 받은 사람은 제도권 금융사 대출이 거절될 수도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금융거래정보 위주의 개인신용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거래정보, 특히 우량정보가 취약한 금융소외자가 본인의 비금융정보를 제출하면 이를 개인신용평가에 반영하는 방식을 신평사들이 도입한 만큼 취지를 더욱 살릴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 비금융정보를 개인신용평가에 반영하는 곳은 나이스평가정보와 KCB 등 2곳이 대표적이다.
한편 나이스평가정보 관계자는 "비금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