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인터넷 보급 속도와 이용률, 그리고 정보기술(IT) 인프라스트럭처 면에서 세계적인 강국이다. 반면 정보 보호와 보안 관련 산업은 여전히 영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수년 전부터 해킹 등 사이버 공격과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사고가 반복되고 있지만 아직 국내 보안 관련 산업은 산업의 중요성이나 대중적 관심에 비해 미미한 편이다.
최근 보안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어 정부는 과거보다 한층 강화된 보안 강화 정책을 시행하고 사고 재발 시에는 제재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미 2017년까지 정보보호시장 2배 확대,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가 5000명 양성, 10대 세계 일류 정보보호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는 '정보보호 발전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정책은 국가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확대 지정,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의무인증 대상 확대, 보안 강화 산업 확대 지정과 보안컨설팅 전문업체 추가 지정 등 실무적 대책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민간사업자가 정보보안에 투자하도록 유인하기 위해 통신사업자, 인터넷 포털, 온라인 뱅킹 등에 대한 사이버 위협 취약성 등 정보통신서비스 안정성 평가를 크게 강화하고 사전 점검 제도를 통해 자발적 보안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국내 정보보안시장은 2016년까지 연평균 12.5%로 세계시장 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카드사 고객 정보 유출 사고는 오히려 국내 보안산업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성장성 확보와 함께 정부의 소프트웨어 요율 강화로 보안 관련 업체 수익성 상승이 예상되는 점도 긍정적인 대목이다.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관련 예산은 2014년
[김영준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