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M&A 시장이 자금력이 풍부한 외국계 펀드 독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16일 매일경제신문이 금융감독원과 PEF업계 자료를 취합한 결과 국내에서 결성된 PEF 약정액 중 투자하지 않고 남은 자금인 미투자 잔액은 2010년 10조9000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 말 2조5000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투자 자금은 넘쳐나지만 좋은 딜 찾기가 어렵다'는 시장 풍문은 실제 시장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던 셈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사모펀드의 핵심 자금줄 노릇을 해온 주요 연기금들 투자 여력이 급감한 탓이다.
우선 PEF 투자의 한 축이었던 보험사들의 퇴조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보험사들은 자본 건전성 지표인 위험기준 자기자본(RBC) 비율 관련 규제 강화로 PEF 출자 여력이 크게 감소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대부분 생명ㆍ손해보험사들이 강화된 RBC 비율 규제 때문에 PEF 출자는 엄두도 내기 힘든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최근 자산보다 빠른 부채 증가로 고민에 빠진 일부 연기금과 공제회도 PEF 출자가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국민연금, 정책금융공사 등 주요(앵커)투자자들의 출자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점은 PEF 자금 확보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대규모 국내 PEF 출자를 진행한 국민연금은 올해는 출자를 건너뛸 가능성이 높다. 정책금융공사도 최근 운용사 간담회에서 블라인드펀드(투자처를 사전에 정하지 않고 자금을 모으는 펀드) 출자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나머지 대다수 연기금들도 올해 국내 PEF 출자가 불투명한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금 여력이 있는 PEF들에는 올해와 내년이 기회가 될 것이라는
[이한나 기자 / 강두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