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4일 임기가 끝나는 임승태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후임 인사를 놓고 금융계 인사가 전한 최근 분위기다.
금통위는 매월 두 차례 정기회의를 열어 기준금리(통상 둘째주 목요일)와 통화신용정책을 결정한다. 한은 총재는 금통위 의장이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위원 7명이 합의한 정책을 '집행'하는 역할이다. 이 때문에 금통위는 한국은행 조직도에서도 맨 꼭대기에 있다.
문제는 이처럼 막중한 자리에 대해 외부기관들이 나눠 먹기 식 추천권을 가지면서 금통위원 인사 때마다 잡음을 빚는다는 것이다.
당연직인 총재와 부총재를 제외한 위원 5명은 각각 기획재정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회 위원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등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사실상 정부는 물론 해당 추천기관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구조다.
금통위원 추천제는 1950년대 초 선출제와 병행되다가 점차 정부와 민간단체 추천 권한이 균형을 잡아왔다. 반면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 중 금통위원 선임을 한국처럼 기관 추천에만 의지하는 곳은 거의 없다.
금통위원은 자타 공인 국내 최고 금융ㆍ통화 전문가여야 한다. 시장 이해관계에서 한 발자국 물러나 정부 재정정책을 견제할 최후의 보루이기도 하다. 학문적 수준을 경시하고 정부 입맛에 맞는 관변학자나 이해관계자 위주로 중용해선 안 된다.
특정 단체 이익을 대변하는 추천제를 폐지하고 전문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이유다. 해외 주요국 사례처럼 청문회나 국회 인준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금융ㆍ통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금통위원 선출위원회를 꾸려 전
올해부터 금통위원 임금이 20% 삭감됐다는 소식에 한 경제학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차라리 잘됐어요. 억대 연봉 받으며 폼나는 자리에 앉으려는 가짜 전문가들이 떨어져 나가면 줄 대지 못한 진짜 전문가들에게도 기회가 있지 않겠습니까."
[경제부 = 이현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