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4월 주가조작 근절 대책을 시행한 이후 개별종목의 주가 급등락이나 정보의 비대칭 등 문제가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상장기업이나 금융투자회사의 임직원 인센티브 지급 등에 있어 장기 성과를 기준으로 한 평가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국거래소가 서울 여의도 서울사무소에서 개최한 '건전증시포럼'에 참석한 학계ㆍ업계 전문가들은 정부의 주가조작 대책 시행으로 자본시장의 불공정 거래 및 투자 위험성이 상당히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이날 '주가조작 근절대책 이후 시장 변화'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우진 서울대 경영대 교수는 "대책 시행을 전후해 지난 2년간 개별종목의 주가 급등락 및 변동성, 투자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 등을 비교한 결과 대책 시행 이후 시장의 질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시장의 단기 급등락을 개별종목의 평균 월중 최대 수익률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대책 시행 이전 월중 최대 수익률은 5.21%였으나 시행 이후에는 4.50%로 0.71%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건전 매매 및 혐의 의심 등 문제 계좌도 대책 시행 이전 4925개에서 시행 이후 3743개로 24%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문제 계좌군의 평균 주식 보유일수는 대책 이전 1.9일에서 이후 4.5일로 늘어 투기적인 단타매매도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빈기범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시장의 신뢰제고 방안' 주제발표에서 "상장기업 및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의 장기 성과 측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며 "인센티브를 단순히 지난 1년간이 아니라 임원의 재임기간 이후 평가를 통해 지급하는 방안 도입을 고려해볼 만하다"고 지적했다.
빈 교수는 이어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 제고 방안으로 △'자본시장투자협의회' 또는 '기관투자자협회' 등을 창설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기업 인수ㆍ합병(M&A) 수용 판단 과정에서 주주권의 적극적인 행사 △분기보고서 폐지 검토 등을 통한 기업 공시 부담 완화 및 단기 성과 추구 경향 완화 등을 제시했다. 업계 대표로 참석한 홍성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부사장)은 "부동산과 고정금리상품 중심의 자산구조, 낮은 금융 이해도 등으로 자본시장의 발전이 미흡하다"며 "효율성 기반의 제도 보완, 금융교육의 보편화 등을 통한 금융문화를 선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위정환
[최재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