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6월 기준금리 동결 결정은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금의 기준금리 2.50%는 경기회복을 뒷받침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환율 문제를 금리 변화로 대응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이날 금통위는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6월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7개월 만에 2.50%로 인하한 후 13개월째 동결을 유지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 일문일답.
-향후 금리 방향을 인상 쪽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런 견해를 유지하나.
▲여러 지표를 놓고 볼 때 지금의 금리 수준은 경기 회복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지난 4월 경제전망 내놓을 때 금리 관련 언급했다. 당시 금년도 전망이 잠재성장률을 조금 웃도는 수준으로 발표했다. 이런 성장경로를 받아들인다면 방향 자체는 인상이 아니겠느냐고 장기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다음번 경기전망을 내놓을 때 다시 한 번 말씀 드릴 수 있겠다.
-세월호 참사 여파에 따른 내수부진을 일시적으로 보는지, 장기적으로 보는지.
▲4∼5월 내수 관련 소비지표가 부진한 것은 사실이다. 장기적인 것인지 여부는 현재로서는 저희가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
-13개월째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통화정책이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금리 이외에 다른 정책수단을 운용계획은 없는지.
▲원론적으로 보면 중앙은행의 정책수단은 3가지다. 대출정책, 지급준비율 정책, 공개시장조작 등이다. 지급준비율 정책과 공개시장조작은 경기대응 수단으로 쓸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남은 것은 대출정책인데, 내수부진 영향이 경기회복에 어떤 영향을 주고 언제 해소될지 보고 나서 어떻게 할 지 결정할 수 있겠다. 다각도로 검토 중이다.
-각국 통화정책의 국제공조가 무엇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는가.
▲각국 통화정책은 자국 상황에 맞춰 운용하는 게 당연하다. 다만 자국의 통화정책이 타국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게 현재로서는 바람직한 통화정책 공조라고 본다. 각국 중앙은행이 자국 경제상황이나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넓은 의미의 통화정책 공조다.
-원화 강세가 지속되면 기준금리 인상은 어려운 것 아닌지.
▲환율은 물가, 경상수지, 소비 등 다방면에 영향을 준다. 그런데 환율이야말로 시장에서 수급에 따라 결정되는게 당연하다고 보면, 급격한 변동은 부정적 영향이 크다.
환율은 금리 이외에 여러 요인으로 결정된다. 경제 기초여건, 국제 금융 상황, 자본 유출입 등이다.
환율 결정요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금리를 조정하더라도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의도와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또 금리로 대응하면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환율변동에 금리로 대응하는 것은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통화정책 방향에 '회복세 주춤'이라는 문구가 있다. 일시적임을 뜻하는 말인지.
▲팩트를 쓴 것 뿐이다. 내수 부진의 장기화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은 지켜보겠다.
-유럽중앙은행(ECB)처럼 금리를 10bp(0.1%포인트) 단위로 조절하는 방안 검토하나.
▲25bp 단위로 조절하는 것은 절대적인 룰
[매경닷컴 윤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