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한은 금통위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연 2.5%로 동결을 결정했다. 현재 경제ㆍ금융 상황이 금리를 조정할 만한 형편이 아니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수출은 여전히 호조세를 보였지만 세월호 사고에 따른 민간소비 둔화 여파가 상당 부분 5월 지표에 반영돼 나타났다. 하지만 5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7%로 전월의 1.5%보다 상승했고, 세계 경제 역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금리를 조정하기에는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에서 "여러 지표를 놓고 보면 지금 금리 수준이 경기회복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총재는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다른 가능성을 열어놨다. 지난 4월 금통위 후 기자회견에서 '기준금리의 기본 방향은 인상' 발언에서 한발 물러난 것이다. 이 총재는 "지난 4월에는 경제전망을 내놓을 때로 당시 경제전망은 올해 4%, 내년 4.2%로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수준으로 내다봤다"며 "전망대로 간다면 방향 자체는 인상이 아니겠느냐는 장기적인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음달인 7월에 경제전망을 내놓으니까 그때 다시 한 번 얘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월 전망 이후에 2~3개월간 여건 변화가 있었을 텐데 여러 가지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에서는 경기둔화와 환율변동이 시급한 문제로 떠오른 상황에서 한은의 정책적 판단이 너무 늦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 총재는 이날 "세월호 참사 영향으로 경기 회복세가 주춤했다는 표현을 썼는데 일시적인지 아닌지 판단을 유보했다"며 "소비심리와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이 언제 어느 속도로 해소되는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환율에 대해서도 이 총재는 "쏠림현상이 부분적으로 있었다고 본다"면서도 금리정책으로 환율에 대응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환율 결정 요인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금리를 조정한다고 해도 환율에 미치는 효과는 의도와 달리 나타날 수 있다"며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만큼 환율변동에 금리로 대응하는 것은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리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통화정책 수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이 총재는 밝혔다.
이 총재는 "중앙은행이 갖고
[최승진 기자 / 이현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