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현지에 진출해 있는 건설 인력 보호를 위해 비상인력대기반을 가동하는 동시에 업체별 탈출 시나리오를 모두 받아놓은 상황이다. 철수는 8월 1일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3년 전 리비아 내전으로 전면 철수했다 올해 초부터 공사를 재개한 건설사들은 리비아에서 시공 중인 102억달러(약 10조원) 규모의 건설공사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리비아에 진출한 기업은 20여 개로 우리 국민 550여 명이 현지에서 근무 중이다. 이 가운데 현대건설ㆍ대우건설ㆍ현대엔지니어링ㆍ두산중공업 등 건설회사 직원이 총 460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현대건설의 경우 현재 사리르 발전소 및 사리르~아즈다비아 송전선 공사(이상 잘루 지역), 알칼리즈 화력발전소(시르테), 트리폴리 웨스트 화력발전소(트리폴리) 등 4개 현장에서 한국인 직원 174명과 외국인 근로자 등 총 1319명이 근무하고 있다.
현대건설 측은 트리폴리 현장과 지사의 인력은 육로를 통해 튀니지로 이동하고, 시르테와 잘루 지역 인력은 비행기 등을 이용해 두바이ㆍ이스탄불 등 인근 안전지역으로 빠져나온 뒤 각자 본국으로 돌아간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필수 인원을 남길지, 일반 자재도 현지 인력에 넘겨주고 나올지는 발주처와 협의를 계속해야 한다"며 "이런 사태 시 공사 지연에 대해선 따로 계약서상에 명시돼 있지 않아 협의가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엔지니어링 트리폴리 지사와 굽바 주택건설 현장에 있는 900명(한국인 60명)의 인력은 육로를 이용해 이집트로 이동할 방침이다.
대우건설은 트리폴리 현장에서 이동해 온 미스라타 발전소 현장 내 인력들과 즈위티나 발전소 현장 등에 배치된 907명(한국인 107명)의 철수를 결정하고 현장 유지를 위한 필수 인력 잔류 여부를 검토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정부ㆍ발주처 등과 협의하며 현장 유지 방법과 필수 인력 선별, 세부 철수 계획 등을 수립하고 있다"며 "인력 철수가 원칙인 만큼 필수 인력이 남더라도 공사 중단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두산중공업이 50여 명, 이수건설 2명 등이 근무하고 있는데 이들 업체는 현대건설 등과 함께 선박, 항공, 육로를 이용할 탈출편을 함께 모색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쪽에 위치한 트리폴리의 경우 육로를 통한 튀니지 국경을 넘어 가는 루트도 가능한데 벵가지 쪽 동부는 육로를 이용한 탈출이 어렵다"며 "해당 업체들이 전세 항공편과 선박을 동원 중"이라고 밝혔다. 2011년 리비아 내전 시엔 정부가 직접 항공편과 선박을 동원해 교민과 건설업체 직원을 탈출시켰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때는 내전이 격화해 트리폴리, 벵가지 등 도시뿐만 아니라 민병대가 우리 현장을 급습하는 등 긴박한 상태였다"며 "경험이 이미 있어 현재는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탈출계획을 이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사들은 인력 철수에 따른 공사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2011년 3월 내전 발발로 전격 철수했던 한국 건설사들은 올해 초부터 상황이 안정되면서 속속 복귀해 현재 공사를 진행 중이다.
주요 현장으로는 현대건설이 2007년 6억5000만달러에 수주했던 알칼리즈 화력발전소 공사, 현대 엠코가 진행 중인 4억3000만달러 규모의 굽바시 2000가구 주택 및 기반시설 공사, 자위야 3000가구 주택단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정부 허가를 받아 필수 인력을 남겨두더라도 공사는 중단할 수밖에 없다"며 "2011년 카다피 정권 붕괴 당시에도 공사 인력을 모두 철수했다가 공사를 재개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번에도 그런 상황이 벌어질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지용 기자 /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