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회장은 4일 서울 여의도에서 취임식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협회장으로서 해결해야 할 중점 과제는 세금 문제”라고 못 박았다. 10년 이상 장기 펀드 투자에 있어 보험사 등 다른 업권과의 차별, 해외 펀드 투자에 있어서 역외 주식·펀드와의 과세 차별 등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그는 먼저 업권 간 세제 불평등 문제와 관련해 “보험은 10년 이상 장기 가입 시 면세가 되는 대단한 특혜를 누리고 있다”며 “보험과 형평성 차원은 물론이고 주식시장을 키우고 장기투자를 정착시키는 측면에서도 주식·펀드의 장기투자는 면세 혜택을 받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이어 국내에서 설정돼 판매 중인 해외 펀드와 해외 증시에 상장된 주식 및 역외 펀드와의 세금 차별 문제도 해결돼야 국내 자산운용사와 증권사의 ‘글로벌화’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해외 펀드에 대한 비과세는 무리지만, 역외 주식·펀드처럼 분리과세해서 형평성을 맞추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해외 펀드는 15.4% 이자·배당세를 내야 하고 투자 수익이 2000만원을 넘을 경우 금융소득종합 과세 대상이 된다. 반면 해외 주식 및 상장주식 펀드는 250만원까지는 비과세고 초과분에 대해서도 22% 세율로 분리과세된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소득공제장기펀드의 농어촌특별세 부과와 관련해 “협회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면서 “올해 소장펀드 가입분에 대한 과세는 농특세 면제를 정부 당국에 건의했고 긍정적인 답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사 위기를 맞은 파생상품 등 증시 거래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국민연금과 우정사업본부 등 정부 기관의 거래세 인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황 회장은 이 밖에 △고객이 신뢰할 만한 중위험·중수익 상품 제공 △핀테크 진입 장벽 완화를 통한 모든 업권 간 경쟁 △원화 국제화를 통한 증권사 외환업무 확대 등을 협회장으로서 주요 추진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이를 위해 협회 조직을 ‘문제 해결형’ 조직으로 전환시킬 뜻을 드러냈다. “협회가 업무 파악이나 회원사의 고민 등은 잘 파악하고 있지만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이 숙제”라는 게
황 회장은 전날 ‘2015 범금융 대토론회’에 참석해 “우리도 네이버나 다음카카오 등 회사가 금융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금산분리를 열어 줘 훌륭한 선수들이 무대에 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 당국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최재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