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유암코 설립 당시 존속기한을 2014년으로 정했으나 지분 매각을 조건으로 한 차례 연장한 상태다. 하지만 기업은행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당초 기한 연장 이유가 무색해지고 있다.
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유암코 매각은 기업은행과 다른 5개 대주주(신한·국민·하나·우리·농협은행) 간 매각 지분율을 둘러싼 의견 차이로 인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유암코는 신한·국민·하나·기업은행이 각각 지분 17.5%, 우리·농협은행이 각각 지분 15%를 보유하고 있다. 은행별 보유지분을 15% 이하로 낮춰야 자회사에서 벗어나며 유암코가 상시 조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당초 6개 은행은 경영권을 포함한 40% 이상 지분을 매각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최근 기업은행은 6개 은행을 합쳐 총 10~20% 정도 지분만 매각하는 안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주주 간 의견 차이로 인해 인수 후보들에게 투자안내서조차 보내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이 갑자기 태도를 바꾼 것은 자사 부실채권 매각을 위해 유암코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소기업대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행은 부실채권 비중이 높고 담보물 중 상당수가 공장·기계류로 전문투자기관인 유암코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반면 다른 은행들은 주로 상가·아파트 등을 담보물로 하고 있어 의존도가 낮다. 하나·국민은행 등은 경영권을 포함해 지분을 최대 52%까지 매각해 매각가를 최대한 높여야 한다는 주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은 부실채권 시장 양성화를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경영권 매각을 통해 유암코를 은행들과 완전히 분리해야 한다는 방침"이라며 "기업은행이 소수 지분 매각을 주장하고 있다면 당초 매각 의도와 완전히 어긋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