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도별로 땅값 상승률 상위권을 차지한 곳은 모두 지방이다. 1위를 차지한 세종시(20.81%)를 필두로 제주(12.46%), 울산(10.25%), 경북(8.05%)과 경남(7.91%)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모두 최근 개발사업이 한창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세종시는 지난해 말까지 중앙행정기관이 잇따라 이전하자 여기에 맞춰 아파트와 상가 분양이 집중되면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전국 17개 시·도 중 땅값이 가장 많이 뛰었다.
제주도는 전원주택 수요가 늘어난데다 서귀포시 대정읍 일원 약 379만㎡ 부지에 오는 2021년말까지 국제학교 7곳과 단과대 10여개를 조성하는 영어교육도시 사업이 진행 중인 것이 땅값을 끌어올렸다. 신화역사공원 개발이 추진되면서 여기에 참여하는 중국인들이 대거 땅을 사들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
3위에 오른 울산은 동구의 울산대교 건설과 화정주택건설사업지구 조성, 북구 중산2차 산업단지와 호계매곡지구 개발사업 등 잇따른 개발호재 덕을 톡톡히 봤다.
시·군·구 단위로 따져봤을 때도 ‘지방의 힘’은 두드러졌다. 17.6%나 오른 경북 예천이 세종시에 이어 2위에 올랐다. 경북도청 이전에 맞춘 신도시 조성사업과 국립백두대간 테라피조성사업 등 굵직한 지역개발사업이 이어진 결과다. 대마전기자동차산업단지와 송림그린테크단지가 들어서는 전남 영광은 14.79% 뛰었다.
땅값이 떨어진 곳도 있다. 전국에서 딱 2곳인데, 모두 경기 지역이라 ‘수도권의 굴욕’이라고 할만 하다. 농경지 가격이 급락한 경기 고양덕양(-0.33%)과 각종 정비사업이 지지부진한 경기 일산서구(-0.1%)가 그 주인공이다.
행정기관 이전이 집값 상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도 주목된다. ‘전국 1위 상승률’을 기록한 세종시는 물론이고 충남도청이 옮겨온 홍성과 예산 등 도청이전지역은 1년전보다 17.02%, 부산 남구와 경남 진주를 포함한 전국 혁신도시는 8.03%나 올랐다.
올해 개별공시지가 상승으로 땅 주인들의 보유세도 비슷한 수준만큼 늘게 됐다. 매일경제신문이 KB국민은행 WM컨설팅부 한병준 세무전문위원에게 의뢰해 전국 주요 개별토지의 예상 세금을 추산한 결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소재 201㎡ 땅은 개별공시지가가 지난해 12억1464만원에서 올해 12억6794만원으로 오르면서 세금도 401만원에서 420만원으로 19만원 뛰었다. 작년보다 4.74% 오른 것인데 이는 공시지가 상승률(4.47%)과 비슷하다.
반면 세종시 연기면 세종리 소재 2047㎡ 면적의 녹지는 지난해 2억5280만원이었던 공시지가가 올해 20.81% 뛰면서 3억원을 돌파했다. 그 결과 소유주가 내야 하는 세금은 20.96% 뛴 47만9000원이 될 전망이다.
세종과 제주 등 작년보다 공시지가가 두자릿수 오른 곳을 제외하면 평균 보유세 상승률은 4~7%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공시지가는 다음달 30일까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www.kais.kr/realtyprice)와 해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