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활황과 저금리가 맞물리면서 개인 자산가들이 지점 운용형 랩에 몰리고 있다. 재무설계, 펀드매니저 등 자격을 갖춘 지점 PB와 1대1 상담을 통해 투자 성향에 따른 개별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하고 변동성이 높아진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다. 29일 매일경제가 삼성, 미래에셋, 하나대투, 한화, NH투자증권 등 지점운용형 랩 잔액 상위 5개 증권사의 잔액 증감 추이를 분석한 결과 연초 약 2조원(2조867억원) 수준이던 잔액이 4개월 만에 1조원 이상 늘어난 3조1176억원으로 집계됐다.
1억원 이상 거액 자산가만 8만명이 넘는 삼성증권은 잔액이 같은 기간 3000억원에서 1조400억원까지 급증했으며, 미래에셋증권도 4개월간 1000억원 이상이 유입되며 1조4794억원까지 불어났다. 이 밖에 하나대투증권과 한화증권도 각각 700억원가량 증가했다.
금융투자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조4000억원이던 국내 증권사(전체)들의 지점형 랩어카운트 잔액은 지난 2월 말 2조6730억원으로 약 2730억원이 늘었다.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5개 증권사 잔액이 3·4월에도 꾸준히 증가했음을 고려하면 지점 운용형 랩 잔액은 당분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최소가입금액이 1000만원 단위인 랩어카운트에 자산가들 자금이 몰리는 이유는 맞춤형 금융상품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증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지점 운용형 랩이 집합운용을 하는 펀드와 달리 고객별 맞춤형으로 운용되고 있어 변동성 확대로 개별 종목이나 업종별 수익 편차가 커진 국내 주식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증권의 'POP UMA'나 NH투자증권의 'PB인베스터랩'은 하나의 랩 계좌 안에서 주식, 상장지수펀드(ETF), 머니마켓랩(MMW) 등에 다양하게 분산투자하는 종합자산관리 시스템으로 자산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투자전문인력에 운용 권한 일체를 맡기는 자문형 랩에 대한 믿음이 떨어진 것도 지점운용형 랩의 인기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2월 말 기준 일임형 랩어카운트 중 자문형 랩 잔액은 1조58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원가량 감소했다. '차화정(자동차·화학·정유)'을 중심으로 자문형 랩 바람이 일었던 2012년 초(5조5600억원) 대비 4조원이 증발한 셈이다.
문진철 삼성증권 랩운용부 차장은 "맞춤형 자산관리 랩 상품이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하면서도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면서 저금리로 갈 곳을 잃은 안전 성향의 개인·일반법인 자금이 급증하고 있다"며 "고수익을 추구하는 개별 상품보다는 국내는 물론 다양한 해외 자산까지 투자 분야를 넓히는 고객 맞춤형 자산관리 상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 <용어 설명>
▷ 랩어카운트 : 증권사의 금융자산관리사가 투자 종목을 추천하고 자산을 적절히 배분하는 대가로 일정률의 수수료를 받는 종합자산관리 상품. 펀드와 달리 환매수수료 없이 언제든 환매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본사운용형 랩이나 펀드 등은 집합투자로, 지점운용형 랩은 일임투자로 분류된다.
[이용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