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석 지수위원회 위원장(서강대 교수)은 6일 종목 선정에 대해 "경제대표성, 시장대표성, 투자자접근성 및 지수영향도, 지속성장성 등 5개 부문으로 평가하고 특정 섹터에 편중되지 않도록 시장 전체 비중을 반영해 선정했다"고 말했다.
◆ 어떻게 선정했나
지수위원회는 산업대표성과 매출규모, 이익규모를 심사하고 시가총액, 거래량에서도 대표성 있는 종목을 선정했다. 다만 원칙적으로 50만원 이상 고가주는 투자자접근성 측면에서 종목 선정에서 제외했다. 이에 따라 가장 논란이 있었던 부분은 고가 황제주인 삼성전자와 네이버다. 편입 시 지수영향도가 과도해 주가평균식 지수산출에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지수의 대표성과 시장 컨센서스 형성을 위해 특례 편입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수산출 시 비중제한을 위해 주가에 조정계수 0.5를 적용하기로 했다.
아모레퍼시픽도 경제대표성과 시장대표성이 매우 높았지만 황제주라는 이유로 제외될 뻔 했으나 지난 5월 8일 액면분할로 투자자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아 구성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유틸리티 섹터에서는 한 종목도 올리지 못했다. 박 위원장은 "한국전력 등 유틸리티 종목은 정부의 규제를 받고 있어 시장 가격에 왜곡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런 이유로 다우지수에도 유틸리티 종목은 제외한다"고 밝혔다. 제일모직과 합병 이슈가 제기된 삼성물산도 30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 대표지수로는 시황지수인 코스피와 선물기초지수인 코스피200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구성 종목이 많아 지수 움직임이 무겁고 우리 경제 성장성을 대표하기 부적합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박 위원장은 "코스피는 기준지수가 1980년 대비 현재 대략 19배 상승했으나 같은 기간 우리 경제성장률(GDP)은 36배나 성장하는 등 지수 성과가 미흡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미국의 다우, 독일의 DAX, 프랑스의 CAC, 홍콩의 항셍 지수는 국가 경제를 대표하는 30~50개 초우량 종목만을 선정해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해당 국가 경제성장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코스피는 중소형주까지 모두 지수에 반영하고 총 760종목을 편입함으로써 우리 경제의 지속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수값이 계속 박스권에 머무는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미국 다우지수는 지난 120년간 지속 상승하는 모습으로 미국 경제와 사회의 활력을 대변해 왔다"며 "KTOP 30지수도 우리 경제와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대표지수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수 산출 기준일은 1996년 1월 3일로 소급지수로 볼 때 지난 3일 종가 기준으로 KTOP 30은 6244를 기록했다. 박 위원장은 "20년간 소급해보니 KTOP 30지수는 약 7배 상승한 반면 코스피는 2.4배 상승해 대략 3배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소급지수에 따른 지수 수익률은 롯데케미칼이 19배, LG화학이 13배, 삼성화재가 10배, 삼성전자 9배, 포스코가 5배 등으로 지수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위원장은 "코스피와 상관계수가 평균 0.94로 높아 구성 종목이 소수임에도 시장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KTOP 30지수 종목 변경은 미국 다우지수처럼 정기 변경은 없고 매년 9월 한 차례 종목의 교체 필요성을 검토하는 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다만 구성 종목
KTOP 30지수 종목이 공개됨에 따라 자산운용사와 증권사 중심으로 지수를 활용한 금융상품 개발을 시작했다.
[전병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