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중국 위안화 평가 절하등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대외 위험요인이 부쩍 커졌다. 이에 따라 향후 통화정책을 비롯한 경제 정책이 국내 경기 흐름보다는 미국과 중국등 해외 경제의 움직임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동결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하반기 우리경제의 대외 위험이 국내 위험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졌고 신흥국들의 불안감도 높아졌다”라며 “중국 경기 불황실성 등도 우리경제가 안고 있는 큰 리스크”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금통위는 향후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자본유출입과 중국 위안화 절하에 따른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증대 등의 요인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가능성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국제 금융시장 변동성에 따른 발생 가능한 상황을 몇 가지로 상정하고 있다”라며 “시나리오별로 국내 경제의 파급경로를 분석해서 거기에 맞는 대비책을 점검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하고 한국은 기초여건과 외환건전성이 양호해 다른 신흥국과 차별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한은은 보고 있다.
국내 성장잠재력과 관련해 이 총재는 “경제규모가 커지고 성숙도가 높아지면 잠재성장률이 추세적으로 낮아진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잠재성장률은 3%대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대의 저성장이 고착화하지 않도록 경제체질 개선을 위한 구조개혁이 중요하다”고 지적했
국회에서 고용 안정을 한은 목표로 명시하는 한은법 개정안이 발의된 것과 관련해 이 총재는 “물가안정, 금융안정, 고용안정의 정책목표가 상충되는 문제가 있고 한은의 정책수단에도 한계가 있다”며 “세밀한 검토와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영우 기자 /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